'예배시스템'에 해당되는 글 25건

  1. LED 전광판스크린도 코그미디어입니다.
  2. HD 영상시스템 및 LED 전광판스크린 설치기
  3. 수원 고색평강교회 HD 영상시공기 SONY HDR-CX450 6
  4. LED 조명 이야기 1
  5. 친절한 상담과 시스템 방문점검 서비스
  6. 접지, 정말 꼭 해야 하는 물건인가요? 영상시스템 보수기 [대구음향,대구영상,교회음향,교회영상,코그시스템]
  7. 디지털믹서와 파워드스피커 설치이야기
  8. DSP 이야기. SAC DS-26 2

LED 전광판스크린도 코그미디어입니다.

 

안녕하세요^^ 코그미디어입니다.

이제 제법 가을이네요. 밤에 산책 나가는 맛이 참 좋습니다^^

풀내음도 나고, 흙내음도 나네요.

저는 대구 북구 중에서, 칠곡이라고 불리는... 구암동에 살고 있는데요,

코그사무실 앞에 있는 함지공원... 누군가는 함트럴파크라고... 험...ㅎㅎ

그리고, 운암지가 가까이 있어서 자주 가는 편입니다. 운암지는 요즘 정비를 해 놓아서 더 좋네요^^

오늘은 LED 전광판스크린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합니다.

요즘은 LED 전광판스크린이 많이 보급되는 시기입니다.

옥외용 전광판스크린이 많이 설치되어 있는데요, 요즘은 대형행사에는 LED 전광판스크린이 기본적으로 설치가 되죠.

실내용 indoor 용으로 LED 전광판 스크린도 많이 설치하고 있습니다.

코그미디어에서도 높은 퀄리티의 제품을 저렴하게 공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통 indoor용은 P3.0mm나 P2.5mm를 요즘 많이 설치하고 있습니다.

물론 P2.0mm나 P1.9mm도 설치가 가능하지만, 지금은 P2.5mm가 대세인 것 같네요.

P3.0mm도 충분히 좋은 화면을 제공하죠.

P는 Pitch를 말하는데요, 픽셀이라고도 하고, 색상을 나타내는 하나의 작은 점이죠.

물론 LED 모니터의 경우, 그 픽셀이 너무 작아서 잘 보이지 않지만, LED 전광판은 하나의 점이

2.5mm, 혹은 3.0mm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LED 전광판스크린은 많은 모듈을 연결해서, 하나의 큰 이미지를 만드는 장치입니다.

프로젝터나 LED TV와 같은 완제품으로 설치되는 장치가 아니라, 모듈을 이은 프레임을 현장에서

설치하는 반제품 장치이죠.

그래서 설치하는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분이 매우 중요한 미디어 장치입니다.

코그미디어에서는 이러한 LED 전광판스크린을 현장에 설치하는 작업과 A/S를 직접 진행하는 전문팀이죠.

외주로 설치되는 경우, 서비스가 원활하지 않은 경우가 많네요.

코그미디어는 이러한 불편한 일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 최선을 다해 설치와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장의 상황에 맞추어 어떻게 설치하는 것이 가장 좋을지, 상황에 따라 인테리어팀과 공조해서 작업을

진행하기도 하죠. 물론, 코그와 함께 움직이는 목수팀이 있기 때문에 더욱 깔끔한 마무리가 가능합니다.

코그미디어에서는 많은 모듈을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에 마그네틱 방식으로 설치를 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알루미늄 프레임이 설치되어야 하는,

프레임의 자재비나 설치비용이 더욱 발생되는 방식이기는 하지만,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아주 특출난 제품입니다.

특히 많은 물량의 LED 모듈을 버틸수 있는 특수설계된 금형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제작이 되죠.

아주 단단한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더욱 단단하게 결속하기 위해 아주 단단한 지지대로 연결이 됩니다.

물론, 용접과 같은 작업이 전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현장도 깨끗이 유지되고요,

용접으로 인한 단차의 발생이 없기 때문에 더욱 높은 평활도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치가 되기 때문에 여러 환경에서 적절한 설치가 가능합니다.

특히, 강대상 인테리어와 함께 진행될 경우, 음향적인 흡음을 고려하여 충진재로 설치하고 있습니다.

충진재가 강대상의 음향적인 잔향과 불필요한 사운드를 줄여줌으로, 더욱 안정적인 사운드를 제공하게 되죠.

흡음은 예전에도 코그에서 에배사역자학교를 통해 테스트를 진행한 적이 있는데요,

특히 강대상에서는 흡음장치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죠.

이것은 단순한 음향의 하울링(피드백)을 줄이는 역할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더욱 넓은 의미의 음향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봉덕교회에 설치된 LED 전광판스크린이 그 역할을 다하고 있죠.

인테리어와 함께 프레임이 제작됩니다.

프레임 역시 크기가 크기 때문에 현장에서 조립이 되고요,

인테리어적인 면을 고려하여 프레임 테두리. 베젤부분의 색상을 바꿀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역시 베젤은 블랙이죠. 코그미디어에서는 블랙칩을 사용하기 때문에 블랙 베젤이 더욱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프레임 역시 매우 튼튼하게 제작이 되고요, 시간이 지나도 쳐지지 않도록 와이어까지 결속합니다.

완성된 프레임을 인테리어에 맞게 부착을 하고, LED 모듈을 마그네틱으로 부착하면 모든 작업은 마무리가 되겠죠.

인테리어 작업이 같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방식으로 붙박이 형태로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프레임의 베젤이 매우 미려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몰딩 마감보다 훨씬 깔끔한 시각적 효과도 제공을 하죠.

LED 전광판스크린이 설치되는 현장에, 추가적인 인테리어 작업이 필요하신 경우도 코그미디어에서 모든 솔루션을 제공해 주고 있죠.

흡음 마감도 충분히 가능하고요.

이 곳에 설치된 LED 전광판스크린은 P3.0mm 173inch입니다.

가로, 세로 192mm의 정사각형 모듈이 가로로 20개, 세로로 11개가 설치됩니다.

스크린 사이즈가 3,840*2,112mm가 되고요, 해상도는 1,280*704pixel이 됩니다.

모듈이 무려 220개가 설치된 거네요.

물론 전기적인 부분에서도 신경을 많이 쓰야 하죠.

코그미디어에서는 이러한 부분에 대해 쉽고 안정적으로 사용하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설치하고 있습니다.

LED 전광판스크린은 다양한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흐릿한 프로젝터를 대신해야 하는 곳에 더욱 적합하죠.

교회의 예배실이나 회의실, 교육실, 상업적 공간에도 다양하게 설치가 가능합니다.

코그미디어에서 사용하는 LED 전광판은 대형 프레임을 벽체에 부착하고,

그 프레임안에 LED 모듈을 설치하는 방식입니다.

물론, 일도 더 많고 더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형태이긴 하지만, 더욱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크죠.

또한, 서비스를 위한 후면 공간이 필요치 않다는 것도 장점이겠네요.

더욱 단단하고 미려한 프레임입니다.

프레임을 설치하고, 제일 하단부터 모듈을 부착해야 하는데요,

전체적인 프레임 외에도, 9장의 모듈(3*3)을 부착한 프레임을 하나 하나 붙여 나갑니다.

제일 하단을 붙이는 작업이 가장 힘이 드네요. 기준이 되는 부분이니까요.

박대리님이 아주 심혈을 기울여 설치하고 있네요.

이런 식으로 부착이 됩니다. LED 전광판스크린은 모듈이 만나는 부분의 평활도가 매우 중요한 부분인데요,

흰색 바탕이 제일 많은 티가 납니다. 그래서 더더욱 열심히... 맞추어야 하죠.

문팀장님께서 열심히 패널을 부착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설치된 LED 전광판스크린은 최종적인 디스플레이의 역할을 감당하죠.

물론 LED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도 있지만, 교회나 회의실에 사용되는 대형 사이즈는

쉽게 설치할 수가 없죠. 비용적인 면이나, 유리의 반사되는 현상이나, 충격에 다소 약한 부분은

대형 디스플레이로서 매력적이지는 않습니다.

이러한 부분을 LED 전광판스크린이 대신할 수 있는 거죠.

보통 LED TV가 3~400cd/m2 정도의 밝기이고요, LED 전광판스크린은 1.2~1,300cd/m2 정도 됩니다.

밝기면에서도 차이가 나죠.

위에 있는 사진은 방송실의 LED 모니터화면과 멀리 떨어져 있는 LED 전광판을 같이 찍은 사진입니다.

밝기 차이가 확연히 나죠.

대형 화면일수록 밝기가 더욱 중요합니다.

물론, 해상도는 LED TV에 비해 많이 낮은 편이기는 하지만 가까이서 시청하시는 것이 아니고,

대형 화면으로 보시는 것이기 때문에 티가 전혀 나지 않습니다.

이미 많은 현장에서 LED 전광판스크린을 사용하시고 계시고요^^

혹시, 프로젝터만으로 해결이 되지 않는 상황이시라면...

LED 전광판스크린이 그 자리를 대신 할 수도 있습니다.

코그미디어와 문의하신다면 더욱 정확하고 좋은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거고요^^

특히, 4인의 예배시스템 전문 설치팀원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빠르고, 정확한 솔루션과 지체되지 않는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코그는 설치 뿐만 아니라, 서비스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으니까요.

더욱 밝고 선명한 화면이 필요하시다면, 코그미디어로 연락주세요^^

프로젝터와 모컴스크린과 같은 고휘도스크린도 코그가 전문이죠.

또한 Full-HD 영상시스템도 코그를 통해 더욱 합리적인 금액과 높은 퀄리티, 빠른 서비스로 만나실 수 있습니다.

예배시스템의 모든 솔루션, 띠링 띠링 전화 한통부터 차이가 있습니다.

코그미디어~

 

 

HD 영상시스템 및 LED 전광판스크린 설치기

오랜만에 컴퓨터 앞에 앉습니다. 간혹 포스팅 언제 올려주시냐는 문의에...

 

곧 올리겠다고 했는데, 벌써 시간이 이렇게 갔네요.

 

그동안 많은 변화가 있었죠. 봄이 언제였던가 싶었는데, 오늘 낮 날씨가 27도... 내일은 30도라고 하네요.

 

 

 

 

모두들 더위... 준비 잘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코그도 더 더워지기 전에 할 수 있는 일들은 잘 마무리해야 할 것 같습니다.

 

무더운 여름날의 천정 안은 한증막이니까요^^

 

 

봄이 되기 전, 2월에 진행되었던 HD 영상시스템과 LED 전광판 스크린 설치기입니다.

 

영상시스템은 Full-HD로 변환된지 그리 오래 되지는 않았죠.

 

기존 SD 영상시스템에서 HD 영상시스템으로 교체하는 사례들이 많이 있는데요,

 

HD 영상시스템은 아날로그 SD 영상시스템과는 달리 많은 특성들이 있습니다.

 

 

 

 

특히 해상도의 차이가 있죠.

 

교회에 설치되는 영상시스템은 전문적인 HD 영상 장비와 TV나 프로젝터와 같은 일반적인 HD 장비와 함께 사용이 됩니다.

 

특히 케이블의 길이나 특성을 많이 타는 HDMI 케이블로의 설치보다는 안정적인 HD-SDI 케이블의 설치, 컨버터 등이 사용이 되고요, 이 때 해상도의 변화에 따른 호환성 여부와 영상 프레임의 차이가 발생되는 레이턴시에 주의해야 합니다.

 

최근, 코그에서는 재미난 일들이 있었는데요, 전등을 ON/OFF 할 때, HDMI 케이블의 신호가 죽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물론 노트북의 종류에 따라 결과들도 차이가 있었는데요, 어쨋던 같은 전기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전등의 변화에 HDMI 시그널도

함께 춤을 추네요. 그만큼 HDMI 케이블은 짧게, 그리고 가정용으로 계발되었기 때문에 전문적인 방송이 필요한 곳에는 최대한

자제 하는 게 예배를 돕는 방법입니다^^

 

간혹, 이런 설명을 드려도 왜 많은 비용이 드는 HD-SDI만 고집하냐고 핀잔을 주시는 경우도 더러 있지만, 안정적으로 예배를 돕는 영상시스템을 구축하려면 안정적인 설계로부터 시작되어야겠죠.

 

이러한 설계는 교회의 상황에 따라 모두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에 설치한 교회에서는 총 4대의 카메라를 사용하시기 원하셨고요,

6채널 HD 스위쳐인, LUMANTEK 루먼텍 VS6가 설치되었습니다.

이 녀석은 6번 입력채널에 KEY/FILL을 동시에 받죠. 그래서 자막기를 사용할 때 1개의 채널로 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스위쳐는 KEY 신호와 FILL 신호를 따로 받기 때문에 2개 채널을 사용해야 하죠.

 

 

하지만, 이 녀석도 단점은 있습니다.

PC의 HDMI 입력을 바로 받을 수 없기 때문에 HDMI to HD-SDI 컨버터가 사용되어야 하죠.

 

코그에서는 보통 PC를 5번, 자막기를 6번으로 설치합니다.

 

 

4대의 카메라가 1, 2, 3, 4번 채널, PC 5번, 자막기 6번으로 연결되었네요.

카메라는 PUR 카메라로 설치가 되었습니다.

 

 

PTZ 일체형 카메라이고요, 카메라의 위치와 줌을 기억하는 PRESET 기능을 통하여 최대 255개의 위치를 숫자 버튼만으로 조작하실 수 있습니다.

예전의 아날로그 PTZ와는 개념이 좀 다릅니다^^

특히 SONY 모듈이 장착되어 있어서, 색감이나 화질이 좋습니다.

물론 5배 이상의 가격차이가 나는 녀석들에 비하면 부족한 면이 있지만,

비슷한 가격대의 녀석들과는 확실히 차이가 있습니다.

 

 

 

자막기는 스위쳐와 같은 회사의 LUMANTEK UB2를 설치했습니다.

비용도 저렴하지만, 페이지 안에 동영상을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요,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죠.

 

스위쳐의 SURFACE에서 KEY 버튼으로 자막을 띄우고, 뺄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전체적인 시스템을 설치하면서, 역시 케이블 배선이 가장 어렵죠.

이전에는 모든 케이블들이 본당 인테리어 외부에 노출되어 있었고요, 엄청난 케이블 고정클립과 나사로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제거하는데도 엄청난 시간이 걸렸네요.

 

코그에서는 천정과 벽체인테리어 안쪽면을 통하여 모든 케이블들이 전혀 노출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정리하였습니다.

이러한 작업에는 많은 수고도 있어야 하지만, 여러 장비와 공구들이 필요하죠.

하지만 더 깔끔하고,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늘 고민하는 부분들입니다.

 

 

 

LED 전광판스크린은 P3.0mm 173inch로 설치가 되었습니다.

16:9 비율을 맞추기 위해 프레임 단위가 아닌, 모듈 단위로 계산되어서 설치가 되었고요,

전체의 모듈을 안정적으로 고정해 줄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특수 제작된 프레임으로 설치가 되었습니다.

뒤틀림이나 변화가 없는 아주 튼튼한 프레임이죠. 또한, 아주 깔끔한 디자인을 제공합니다.

 

코그미디어에서는 LED 전광판스크린 때문에 강대상 전면 인테리어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경우, 흡음 처리를 권해 드리고 있습니다. 특히 강대상 전면의 흡음효과는 강대상 마이크의 더욱 자연스러운 수음에 효과를 주죠.

피드백(하울링)을 줄이는 것은 기본적인 것이고요.

 

 

 

몇일 전, 예전에 코그에서 시공했던 교회에 A/S 요청이 와서 방문했습니다.

그 곳은 250석 정도되는 공연장 같은 분위기의 예배실인데요, 흡음이 되지 않는 인테리어 마감 때문에 잔향과 피드백이 심한 곳입니다.

지난 주에 콘서트가 있었다는데요, 좀 어려움이 있었다고 하시네요.

스피커의 와이어와 스피커의 상태 등을 다시 체크 해 드렸고요, 다시 튜닝을 해서 조금 더 좋은 소리를 찾아 드렸습니다.

하지만 울림이 많은 공간이어서, 아쉬움이 있는 공간입니다.

 

 

어떤 분들은 전기음향(믹서나 EQ, 아웃보드들, 마이크)을 통해서 소리를 컨트롤할 수 있다고 하시는데요,

소리는 물리적인 현상에 따라 반응하기 때문에 공간을 절대 무시할 수 없습니다.

더 좋은 소리를 원하신다면 충분한 공간음향에 대한 고민을 하셔야 하죠.

 

어쨋던, 강대상 전문 흡음을 위해 흡음충진재를 넣고, 석고보드나 합판 마감없이 목모보드를 부착했습니다.

목모보드는 마감재로, 인테리어적으로 전혀 나쁘지 않은 자재죠.

나무를 나물처럼 얇게 벗겨서 고온에서 압착해서 만들고요, 아이보리 컬러로 제작이 되기 때문에 보기에도 괜찮습니다^^

무엇보다도 소리가 투과될수 있는 좋은 자재료.

흡음재라고 생각하시기 보다는, 투과재로 이해하시면 더 정확하실 것 같네요.

 

 

 

기존에 프로젝터는 REAR 방식으로 사용하셨습니다.

예배실 뒷편에 공간을 만들고, 거울을 이용하여 화면이 비치는 플라스틱과 같은 스크린에 투사하죠.

프로젝터가 예배실에서 보이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고요,

강대상 뒤에 공간이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밝기는 일반 MATT WHITE보다 밝은 편이지만, 핫스팟에 의한 밝기 차이는 많이 나는 편입니다.

예전에 사용되었던 프로젝션TV와 동일한 방식이죠.

 

이제 1,300cd/㎡ 의 밝기를 제공하는 LED 전광판스크린으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완전 밝고 선명한 화면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뒷 공간을 창고로 사용하실 수 있는 점은 보너스이고요,

흡음처리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적으로 깔끔하게 정리된 것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13월의 월급과 같죠^^

LED 전광판 프레임이 벽체에 매입되었기 때문에 아주 수려한 디자인을 제공합니다.

 

특히 코그에서 설치하는 프레임은 두께가 170mm에 불과하며,

프레임이 마그네틱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사후 서비스를 위한 공간이나, 체인으로 설치될 필요가 전혀 없죠.

벽체에 바로 부착이 되며, 마그네틱에 나사산이 있기 때문에 세밀한 깊이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높은 평활도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모든 작업을 코그미디어에서 직접 시공하기 때문에 더더욱 깔끔한 마감이 이뤄지죠.

물론, 인테리어는 같이 작업을 하시는 장로님 팀에서 진행해 주시고요,

코그는 함께 움직이면서 깔끔한 마무리를 제공해 드립니다.

 

사실, 이러한 작업이 많은 시간이 걸리고, 손도 많이 가죠.

3일이면 될 작업이 6일 걸렸으니까요.

 

하지만, 설치는 한번이고, 사용은 최소 10년 이상이기 때문에 결코 그냥 넘어갈 수 없습니다.

 

 

 

 

본당의 예배실황 중계는 총 7군데 설치되었습니다.

SW1600 스위칭허브와 100HDC 장치로 송출되고요, CAT5E 케이블로 운용이 되죠.

방송실에서 스위칭허브의 점등을 통해 시그널이 정상적으로 전송되는 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카메라와 자막기, PC의 입력, 중계시스템을 위해 방송실에서는 여러 장비들이 유기적으로 설치되었고요,

케이블이나 커넥터, 설치방법 등은 코그의 특기답게 교과서적으로 설치되었습니다.

 

 

 

운용은 쉽고, 효과는 극대화, 비용은 합리적인 게 바로 코그의 모토죠.

 

코그에서 많은 날, 교회에 들어가서 작업을 했지만 모든 일들이 잘 마무리되고,

좋은 결과물이 나오니까 코그도 힘이 납니다.

 

그동안 화질이 낮은 SD 영상시스템이나 흐릿한 프로젝터로 불편함이 있는 곳에,

언제나 코그가 달려가겠습니다.

 

늘 예배 가운데 기쁨과 승리가 넘치시길 코그도 기도합니다.

그리고, 늘 방송실에서 수고하시는 모든 방송 사역자분들... 응원합니다^^

 

 

 

 

 

 

수원 고색평강교회 HD 영상시공기 SONY HDR-CX450



안녕하세요, 코그입니다^^

이제 제법 날씨가 쌀쌀하네요. 애들 어린이집에 잠바도 안 입혀 보냈는데, 날이 꾸무리 하니까 좀 신경이 쓰이네요^^

그래도 어린이집은 따뜻할 거라 믿으며...


가을이 오기전, 수원에 다녀왔습니다.

어린이집을 함께하는 교회에 간단한 영상 및 음향설비를 마치고 왔습니다.

어린이집의 어린 꼬맹이들을 보니... 참 예쁘고 귀엽네요.


교회에서 어린이집을 함께 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어렵기에 더더욱 필요한 사역이겠죠.

저도... 교회 선교원 출신이기에... 쿨럭.



늦여름에 진행된 작업이고요, 간단한 작업들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방송실을 담당하시는 집사님께서 유선상으로 견적과 상담을 하실 때 전체적인 포맷을 말씀 해 주셨고요,

몇번의 조율과 최종 견적을 위해 교회를 방문하였습니다.


수원은 대구에서는 좀 멀긴하죠. 하지만 시작이 반이라는 말처럼, 다녀와야겠다고 마음 먹으면 사실, 별거 아니죠.

제주도도 가는데요^^ 사실 제주도는 티켓팅이나 날씨나 여러 변수들이 있긴 하죠.

수원은 차 타고 가는 곳이니까 별 어려움은 없습니다.



기존에 사용하시던 영상시스템을 HD로 변경하는 작업이었습니다.

카메라는 국민카메라 SONY HDR-CX450이 설치되었습니다.

예전에 나오던 405 모델의 후속모델이죠. 근데 소니는 연말이 되면 또 모델들을 체인지 하기에...

언제 변경될 지는 모르지만, HDR-CX450은 외부 어댑터를 사용하면 별도의 개조 없이 ON/OFF 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팬틸트는 프로디아 제품을 사용하였고요, 일단 1개의 카메라만 사용을 하시는데,

추후 추가적인 설치를 위해 2채널용 팬틸트 컨트롤러를 설치했습니다.

1채널이나 2채널이나 비용 차이는 크지 않으니까요.



프로디아 팬틸트는 아날로그 방식의 PTZ입니다. 그래도 이 녀석은 조이스틱 레버를 PUSH 하면, 속도가 2단계로 조절이 됩니다.

조이스틱 위의 LED가 빨간 색/초록 색으로 바뀌면서 속도 차이가 발생이 되죠. 없는 것 보다 훨씬 편합니다.

물론 디지털방식의 PTZ가 대세이긴 하지만, 각기 다른 여러 환경에서 아날로그 PTZ를 사용하셔야 하신다면...

그래도 속도 조절이 되는 제품으로 사용하시는 게 낫죠. 암요...



이번 작업에서는 HD 스위쳐는 설치되지 않았습니다.

대신 PC를 통해 자막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설치가 되었는데요,

방송실 담당집사님께서 제품을 선정, 설치까지 도와 주셨습니다.

이틀동안 작업이 진행되었는데요, 집사님께서 월차 연차를 쓰셔서 이틀동안 함께 작업을 많이 도와주셨죠.

미리 방송실을 정리 해 놓으시고, 간식도 챙겨주시고, 맛있는 식사도 대접해 주시고...


멀리 수원까지 가서 좋은 여건 속에서 즐겁게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집사님께도 감사를 드리고요, 목사님과 사모님께서 과일도 챙겨주시네요.

정말 정말... 더 열심히 작업해야 하는 곳이죠.


작업이 마치고, 대구까지 먼길가야 한다고 집사님께서 뒷정리도 직접 하신다고 막 쫓아보내시네요. 정말 정말 감사했습니다.


덕분에 정시에 칼퇴했습니다. 오후 6시... 수원에서 퇴근했죠. 아니면 또 야근이었을 텐데요...

그래서 이렇게 아름다운 하늘도 볼 수 있었습니다.





소니 카메라는 HDMI 케이블로 방송실까지 시그널이 전송되었습니다.

기존에 설치된 케이블들이 예배실 천정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었습니다.

20여가닥 정도 되네요. 필요없는 선은 CUT... 필요한 선은 다시 천정으로 올려서 3F 유아실 안쪽으로 매립하여 방송실까지 다시 배선하였고요,

방송실 바닥에는 80x80mm 덕트를 사용해서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

기존에 방송실 문턱으로 지나던 전기케이블도 덕트로 정리를 해 드렸고요, 접지가 없어서 접지케이블도 배선해 드렸습니다.

급히 수원에서 2.5Sq 1롤을 구입했네요. 15m 사용하려고요...




접지테스트로 테스트를 해 보니... 짠~~ 접지가 되었습니다.




물론 1m짜리 접지봉에 연결되었지만 나름 일을 잘 하는 것 같습니다.

함께 설치된 SOUNDCRAFT SI IMPACT가 일을 열심히 하니까요. 쉬지 않고요.


특히 디지털믹서는 접지가 매우 중요하죠.

특히 코그에서 설치하는 FURMAN이 접지가 안된 상황을 대신할 수 있는가?라는 문의를 많이 주시는데요.

FURMAN은 POWER CONDITIONER입니다. 접지는 기본적으로 되어야 하는 부분이고요.


실례로, SI IMPACT를 설치 해 드린 교회에 코그에서 접지를 해 드렸습니다.

1달 정도 지나서 믹서가 다운이 된다고 하시네요. 가서 확인을 해 보니, 접지선이 CUT... 되었네요.

다시 연결하고, 잘 사용하시고 계십니다. 접지... 정말 중요하죠.


하지만 건물을 지은 지 좀 된 경우에는 접지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에는 아쉽지만 접지봉이라도 작업을 해야 합니다.

물론 탄소접지봉 같은 더 좋은 방법들도 있지만, 비용이나 여러 상황들이 맞아야죠.


만약, 건물을 새로 지으신다면 방송용으로 별도 접지공사를 반드시 진행하시는 게 좋습니다.

물론 예전처럼 조명이 전기를 엄청 쓰지 않으니까 좀 낫긴하지만 접지는 기본이죠.




케이블 정리를 다 해 드리고, 마무리가 되니 집사님께서 깨끗해 진 예배실 한켠을 보시고, 속이 시원하다고 하시네요.

저희도 속이 시원하네요^^

사진에 자세히 보시면 기존 케이블을 내렸던 천정구멍과 케이블로 인한 때가 생긴게 보이실거에요.

물론 반나절을 홀로 천정에서 지낸 박대리님은 많이 더우셨겠지만... 그대의 손길이 더욱 코그다운 일을 만들어 가고 있어요. 잊지 마세요^^



기존에 사용하시던 프로젝터와 강대상에서 사용하시는 후면 프로젝터, 3F에 설치된 TV, 그리고 1F 어린이집 등에

프로젝터와 TV로 중계되었습니다.



상어가족 영상으로 테스트가 진행되었네요.

영상도 잘 나오고요, 소리도 잘 나오네요.




1F 어린이집에는 프로젝터로 영상을 중계하고요, PHONIC SEP-207로 소리를 전달하였습니다.



전체적인 중계는 CALLA에서 제작한 D-0212 분배기와 HDMI REPEATER로 전달되었습니다.

특히 CALLA D-0212는 8개의 HD-SDI와 4개의 HDMI로 분배됩니다.



물론 HD-SDI와 HDMI 1개씩 2개의 입력을 받고요, 패널 전면부에 시그널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초록색 불빛은 비추이지만, 기능만은 정말 알뜰살뜰 한 것 같네요.



더군다나 아날로그오디오 MUX 버튼, 심지어 볼륨노브까지... 완전 마음이 쏙... 듭니다^^




케이블 가이드까지... 완전 세심....



이제 영상작업이 거의 마무리 되었네요. 사진으로 보니... 별로 일을 안 한것 같네요.

그래도 이 모든 시스템들이 프로젝터를 제외하고, 모두 순차전원기와 연동이 되어 방송실에서 일괄적으로 시스템을 제어하실 수 있도록 설치했습니다.


1F 어린이집에서는 자체적으로 사용하실 수 있도록 전기작업을 해 드렸습니다.

늦은 밤... 다이소를 이용했습니다. 스위치콘센트...


각 층마다 CAT6 랜케이블도 새로 배선하였고요, 중계를 위한 배선 등 많은 케이블을 설치하였습니다.

늘 일은 고되지만 사진은 평온하죠. 이 사진들을 찍는 시간이 오기전까지...

4명의 팀원들은 궁둥이 붙힐 시간도 잘 없으니까요.


1박2일로 진행된 작업이기에 더더욱 열심히 작업한 것 같습니다. 2박3일이 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많은 분들이 HD 영상을 문의주시는데요,

영상에 대해 공부를 조금 하셨는분들이 그런 말씀을 하시더라고요.

HD 영상으로 바꾸어도 화질이 안 좋은 경우가 있다고. 무슨 말씀이냐고 하시니까 FULL-HD 화질이 아닌,

아날로그 영상시그널을 HD로 컨버팅해서 설치하는 경우가 많더라는거죠.


물론, 여러 방법들을 사용하시면 비용은 줄일 수 있습니다.

비용을 아끼고 절약하는 것은 좋은데요, 그렇다고 화질까지 줄일 수는 없는 일이죠.

요즘은 FULL-HD를 넘어 4K로 넘어가는 시대인데요, 뻥튀기 컨버팅 설치가 간간히 있기는 하네요. 좀 아쉽긴 합니다.




코그는 늘 그게 고민입니다.

어떻게 더 안정적으로 예배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을까.

그리고, 더욱 쉽게 운용할 수 있을까. 퀄리티를 헤치지 않고.



오늘도 그 고민으로 살아갑니다. 이게 우리의 일이고요, 우리가 섬기는 방법이니까요.

 


LED 조명 이야기

요즘은 조명에도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

가장 큰 변화는 아무래도 LED 조명이 대세라는 점이죠.

물론 LED 조명도 장단점들이 있습니다.



일단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1. 기존 조명에 비해 전기를 적게 먹는다.

2. 따라서 음향이나 영상시스템에 영향을 적게 미친다. 가령 노이즈가 발생된다던지, 화면이 떨린다던지...

3. DMX 컨트롤러를 통하여 밝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명에 따라 움직이거나 색깔을 바꿀 수 있다. 또한 고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LED MIVING도 있다.

4. 수명이 길다.

5. 발열이 적다.


단점도 있습니다.

1. 색감이 이전의 조명에 비해 조금 차갑다.

2. 전기선 뿐만 아니라 DMX 시그널 케이블을 같이 배선해야 한다.


물론, 이러한 단점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커버가 가능하죠.

하지만 전기적인 장점만으로도 충분한 메리트가 있죠.


가령 전기세가 적게 나온다던지, 음향이나 영상에 영향을 적게 미친다는 것은 매우 큰 장점입니다.


코그시스템에서는 그동안 여러 교회에 LED 조명을 설치 했습니다.

일반적으로 LED PAR LIGHT를 설치해 드렸는데요,

따뜻한 흰색만 재현이 되는 WARM WHITE와 다채로운 색상을 재현하는 RGBW가 있습니다.

물론 RGBW 조명도 흰색을 표현할 수 있지만, 웜화이트에 비해 조금 차운 색감을 제공해 주네요.

그리고, 일반 조명에 조금 더 가까운 색상을 제공하는 조명도 있습니다.


이러한 조명을 여러 형태로 연결하여 사용하실 수가 있죠.


예를 들어 총 10개의 조명이 들어간다면 WARM WHITE 6기, RGBW 4기로 구성하실 수도 있고요,

강대상을 비추는 엘립소이드를 추가로 구성하실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엘립소이드는 집중되는 원형 빛을 제공하기 때문에 강대상에 많이 사용을 하시는데요,

가운데에 설치하는 것보다 좌우측에 1개씩 설치를 하면 그림자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되기도 하죠.


아래 사진은 무대 바튼에 설치된 6개의 WARM WHITE, 2개의 RGBW, 2개의 엘립소이드로 구성이 되어 있고요,

성가대석을 위한 별도의 바튼에 4개의 WARM WHITE가 설치된 경우입니다.

경우에 따라서, 인테리어를 하실 때 조명 바튼을 위한 그리드 작업이 진행되면 조명의 후면이 더욱 깔끔하게 정리가 될 수 있습니다.



바튼은 고정형 바튼과 전동식 바튼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전동식의 경우 조명시스템 전체가 하강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더욱 쉬운 방법이 됩니다.

하지만 비용적인 면에서 더욱 상승되고요, 천정 안에 모터를 설치 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죠.


요즘 나오는 LED 조명은 예전에 비해 유지보수가 많지는 않기 때문에 엘리베이션 바튼이 아니어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조명의 배열이나 위치, 각도 등을 자주 조절하실 거면 아무래도 전동식이 낫지 않을까 싶네요.



LED PAR LIGHT는 빛이 조금 퍼지는 성향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빛이 다운라이트처럼 완전히 퍼지는 건 아닌데요, 경우에 따라서는 조명갓을 설치해 일부의 빛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명갓 역시 덩치가 크다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조명 갓 없이 설치가 되기도 하고요,

경우에 따라서는 조명을 천정에 최대한 높이 올리기 위해 케이블 덕트 설치 없이 바튼 봉만 설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케이블 배선이 정리되는 데는 조금 불편하고, 케이블이 노출될 수 있지만, 천고가 많이 높지 않을 경우에는 조금 더 조명을 올려 설치할 수가 있죠.



사실, 조명은 어느 곳에 설치가 되느냐가 굉장히 중요한 문제입니다.

물론 음향의 스피커도, 영상의 카메라도 위치에 많은 영향을 받는데요, 조명 역시 많은 영향을 받죠.

왜냐하면 조명의 위치와 각도에 따라 무대에서 눈이 부실 수도 있고요, 충분한 광량을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죠.



LED 조명은 보통 전기를 150W 정도 소비합니다. 이전에는 조명 1개당 1KW씩 소비하곤 했는데요,

따라서 필요하면 추가적인 설치가 조금은 용이합니다.

전기케이블과 시그널 케이블을 별도로 배선할 필요없이 기존의 케이블에 같이 엮을 수가 있는데요,

따라서 상황에 따라 약간의 변동도 가능합니다.


아래 사진은 조명을 설치하기 전 테스트하는 모습이네요.



교회에서 조명은 대체로 강대상을 비추는 용도와 성가대 혹은 찬양팀을 비추고요,

또 경우에 따라 행사에 따른 무빙을 이용한 효과 등으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론 스모그 같은 효과를 통해 조명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긴 하지만,

아직 예배의 정서와는 조금 거리가 있긴 하네요.


무빙은 PAR LIGHT 보다 훨씬 더 다이내믹 하기는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PAR LIGHT의 크기가 작은 제품도 있습니다.

하지만 밝기 역시 줄어들 수 밖에 없죠.

보통 LED는 소자 1개당 3W 정도의 전기를 소비하고요, 그에 따른 빛을 제공해 주는데요,

LED의 갯수가 줄어든 만큼 광량도 줄어 듭니다.



코그에서 보통 사용하는 PAR LIGHT는 54구 제품이니까, 3W씩 계산을 하면 162W 정도 되는 제품들이고요,

엘립소이드는 150~250W의 제품들로 구성이 되고 있습니다.

물론 냉각을 팬이 아닌, 바디섀시로 하기 때문에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습니다.




DMX 컨트롤러는 제품이 상당히 다양합니다.

국산 제품도 있고요, 흔히 사용하시는 CODE나 NET.DO 제품들도 있고요,

제조사에 따라 다양한 제품들이 나옵니다.


가격대도 다양한데요, 때로는 한 대의 컨트롤러로 모든 조명기구들을 제어하는 게 불편하실 수도 있죠.

예를 들어 무대와 강대상, 성가대를 따로 사용한다면 휠씬 더 적절한 컨트롤이 가능합니다.



금액대가 그렇게 높진 않기 때문에 여러대를 사용하시는 것도 방법이죠.

위의 사진에서 CODE TANG98 은 강대상과 성가대석을 위한 컨트롤러이고요,

밑에 있는 NET.DO 제품은 무빙을 포함한 무대조명 컨트롤러입니다. 역시 무빙에는 조그가 있어야죠^^



그 옆에 있는 GLP 컨트롤러는 기존의 할로겐 조명을 몇개 사용할 수 있도록 같이 설치 해 놓았습니다.

물론 책상의 공간을 많이 차지할 수도 있지만, 편의성과 빠른 접근성을 위해 여러개의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아래 사진은 색감을 더욱 자연스럽게 만들기 위해 기존의 파라이트 조명을 4개 그대로 사용하고요, 나머지 조명을 LED로 교체 하였습니다.

성가대석 조명 4개는 별도의 바튼에 설치가 되어 있죠.

무빙을 포함하여 총 23개의 조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RGBW PAR LIGHT는 DMX 컨트롤러를 통하여 자연스러운 색 표현이 가능합니다.


아래는 색감에 대한 동영상 자료입니다.






코그워쉽시스템은 음향, 영상, 조명, LED SCREEN에 이르는 모든 솔루션을 직접 설계, 시공, 튜닝, 교육하고 있습니다.

특히 4명의 팀원들이 협력하여 직접 설치하기 때문에 더욱 빠른 A/S 대응이 가능하죠.

교육까지 한번에 가능한 예배전문기업, 코그워쉽시스템을 통해 더욱 안정적인 예배시스템을 구축하실 수 있습니다.


모든 문의는 친절한 053)323-1907 입니다^^



친절한 상담과 시스템 방문점검 서비스


코그워쉽시스템은 예배시스템에 대한 친절한 상담과 시스템 방문점검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그워쉽시스템만의 오랜 노하우를 함께 나누고, 점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상담과 방문점검에 대한 연락은 위에 있는 번호로 주시면 되시고요,

문자와 카톡 모두 가능합니다.


밤 8시 이후에는 가급적 문자나 카톡이 좋을 것 같네요.

앞으로도 예배시스템에 대한 상담은 언제나 코그입니다^^



참조) 시스템 방문점검 서비스는 대구지역은 무상으로 진행이 되고요,

타지역의 경우 출장비가 실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접지, 정말 꼭 해야 하는 물건인가요? 영상시스템 보수기 [대구음향,대구영상,교회음향,교회영상,코그시스템]

오랜만에 사무실 가까운 교회에서 연락이 왔습니다.

사무실에서 가깝기 때문에 더더욱 룰루랄라~ 하며 방문점검을 하였습니다.


1차적인 요청은 프로젝터가 밝지 않다는 것이었고요,

추가적으로 영상시스템의 화면이 부팅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겁니다.



우선 프로젝터부터 점검을 합니다.

간단히 2가지 문제네요. 램프 수명이 다 되었다는 것과, 프로젝터의 전원이 순차전원기에 물려 있다는 것.

보통 일반적인 교회에서 흔히 일어 날 수 있는 사소한 일상들입니다.


램프는 교체하면 되고요... 문제는 순차전원기에 프로젝터 전원이 물려 져 있다는 겁니다.

이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키죠.

방송실에서 예배와 모든 순서가 끝이 나면 제일 먼저 프로젝터를 Off 합니다.

그리고는... 순차전원기를 내립니다.

그러면... 오랜 시간이 지나기 전... 이미 프로젝터는 자체 냉각팬으로 열기를 다 내뿜지 못하고 멈추어 버립니다.

이러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게 되면, 일단은 온도 센스나 필터센스가 고장이 납니다.

프로젝터의 메인보드에 붙어 있는 녀석들이죠...


이럴때는 보통 이렇게 처리합니다.


역시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램프를 교체하며, 광학클리닝과 메인보드 점검 및 수리를 진행. 또는

2. 프로젝터를 바꾼다...



1번이 조금 더 저렴하겠지만, 전체적인 내구성이나 연식 등을 고려 해 볼때 2번이 정답일 수도 있습니다.

처음 달린 프로젝터는 6,500Ansi 프로젝터였는데요, 파나소닉의 5,500Ansi 프로젝터로 교체하였습니다.

비용적인 면에서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지만...


프로젝터를 바꾸니 나니 오히려 6,500Ansi 프로젝터보다 더 밝게 보이네요.


[Panasonic PT-VX600 입니다. 컴팩트하지만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녀석이죠.]



이제 영상시스템의 부팅이 왜 문제가 되는지 살펴봅니다.

우선 이 곳에서는 2대의 비디오믹서를 사용하시고 계시네요.

Roland의 V-8을 메인으로, 그리고 보조 믹서로 V-4를 사용하시고 계십니다.



아마 처음 V-4를 설치하셨다가 추가적으로 V-8로 업그레이드 하셨을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V-8이 더 최근 녀석이니까요... 하지만 둘 다 아날로그 방식의 컴포지트 스위쳐입니다.


물론 V-8은 채널이 8새로 늘어 난 것 외에도 RGB 시그널을 입력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깨끗한 RGB의 화질은 아니라는 거... 그게 좀 함정이긴 합니다.

그래도 V-4로는 RGB to Composite 해야 하는 문제보다는 나으니까...



S-VHS로도 할 수 있다고 말씀하실 분들도 계시긴 할 것 같네요... 버~뜨... 도긴개긴...

(이건 무슨 말인지 아시는 분들만 이해하시는 걸로~~)



그래서... 결론은 무엇인가...


Edirol V-8도, V-4도 둘 다 Output이 고장이 났네요...

왜 고장이 났는지 파악도 해야 하는데, 일단 주일을 앞두고 있는 화요일이기 때문에...

긴급히 수리를 보냅니다.


Roland Edirol 씨리즈는 코스모스악기사가 아닌... 한국에빅스에서 수입 및 A/S를 진행하네요.

일단 V-8만 택배로 올려보냅니다. 그리고, 금요일... KTX 화물로 받아 재설치 해 드렸고요,

V-4는 수리비나 중고매물이나 거기서 거기라서... 중고제품으로 설치를 해 드렸습니다.


장로님께서 고장난 V-4를 가져가서 뜯어보라며 주시네요...

먼 훗날,,, 코그박물관을 만들면 분해해 전시하려고 냉큼~~ 받아왔습니다.ㅎㅎ

'그땐 그랬지~' 뭐... 이런 코너를 만들면 좋지 않을까...



V-8은 수리하러 보내고 다시 코그는 일을 합니다.

왜 이런 고장이 일어났는가...


방송실의 수많은 케이블들을 다시 점검합니다.

이때... 방송실 담당집사님께서 전화를 주셨네요...

아무래도 전기케이블이 의심스럽다는 겁니다. 처음 설치한 업체에서 전기선을 너무 가느다란 걸로 설치를 해 놓아서

항의를 하셨답니다. 왜 이렇게 얇은 전기선을 사용했느냐...

업체측에서는 그래도 상관이 없다고 하셨고, 집사님께서는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직접 AVR에서 순차전원기까지 굵은 케이블로 바꾸셨다고 하시네요.

그리고, 전체적인 전기선은 문제가 없는 지 확인을 해 달라고 하셨습니다.


그렇네요. 집사님 말씀이 맞습니다.

AVR에서 순차전원기까지는 2.5Sq 3C 케이블로 되어 있네요. 물론 접지도 물려 져 있고요...

방송실에 인입되어 AVR로 들어오는 전기선도 2.5Sq 3C, 접지까지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버~뜨...


우리를 더욱 당혹케 한 것은... 바로.


순차전원기에서 나머지 기기들간에 접지가 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이죠.



사실, 몇주전 방문했던 교회에도 접지가 되어 있지 않았었는데요...

컴퓨터에도 접지를 해야하는데 전문 음향, 영상장비에 접지가 되어 있지 않다니... 좀 의아합니다.


접지는 네이버에 물어보면 잘 나와있죠.

어스 또는 그라운드라고도 하는데요, 지구라는 거대한 도체에 전위차를 맞추는 겁니다.

쉽게 말씀을 드려서 접지선을 땅 속 깊은 곳에 묻어 모든 기기들의 남는 찌꺼기 같은 전기를 다 흘러보내는 걸로

이해하시면 좀 쉬우실 거 같네요..


물론, 이론적인 이야기는 더 깊은 이야기지만, 분명한 것은 모든 장비는 접지가 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니다.

하지만 옛날 건물은 콘센트에 접지가 되어 있지 않죠.

따로 접지봉을 박아 순차전원기에 연결이 되어야 하고요, 순차전원기에 물린 모든 장비들 역시 3C 케이블로 접지가 되어야 합니닷(엄청 강조).



모든 전기케이블이 2C네요... L상과 N상만 존재하는...

장로님과 상의후 모든 전기케이블을 교체합니다. 사무실에 쪼르르 달려가서 필요한 자재들을 챙기고요, 긴급 야근을 준비합니다.


또한 2대의 순차전원기를 연동하셔서 사용하시고 계시는데요, 영상장비는 모두 순차전원기가 아닌...

팬틸트 컨트롤러의 전기로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멋집니다.


근데 함정은 2대의 순차전원기가 연동되어 있는데 2번 순차전원기에는 아무것도 연결이 되어있지 않다는 거... 쩝.. 예비용인가?



뭐 어쨋던 전기케이블을 교체하는 작업이 시작되었기에 순차전원기도 정리를 합니다.

연동된 케이블을 제거 하고, 음향과 영상을 따로 사용하시도록 세팅해 드렸습니다.

물론 음향순차전원기의 순서도 맞추어 드렸고요...



아마 비디오믹서의 고장원인이 접지가 아니었을까... 추측해 봅니다.

물론 V-4나 V-8은 어댑터를 사용하는 기기이기 때문에 접지가 굳이 없어도 가능하지만,

RF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모든 장비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물려 있기 때문에

다른 장비들(분배기나 셀렉터, TV 등)로 인한 전기의 역유입이 가능한 상황이었으니까요..


물론 추측입니다.

하지만 장비의 고장이 일어난다는 것은 전기적인 문제가 가장 많습니다. 전기로 움직이는 장비들이니까요.

아.. 물론 스피커는 앰프도 중요하죠... 앰프와의 매칭.



프로젝터에 연결된 2C 전기케이블과, 새로 설치된 프로젝터를 컴퓨터로 제어하기 위한 네트웍 케이블도 새로 설치를 했습니다.

박대리가 열심히 천정을 기어다녔죠... 마치 천정을 안방처럼 다니는 박대리, 조대리... 늘 감솨한 마음입니다.



프로젝터도 교체를 하였고요... 새로 수리 후 받은 V-8도 설치하니 이제 모든 것이 잘 마무리되었네요.

물론 3일동안 들락달락 거린 작업이었지만, 사무실에서 가까운 곳에 작업이 진행되니 모든 것이 수월하네요...



참고로 코그는... 대구 북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ㅎㅎ



장로님께서 수고많으셨다고 오뎅~~도 사주시고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왔던 보수작업이었습니다.

코그를 필요로 하는 곳이 있다는 것이 얼마나 감사한 일인지 모르겠습니다^^


늘 예배로 승리하시고...

시스템의 보수, 설치는 코그와 상의하세요^^

 



디지털믹서와 파워드스피커 설치이야기

얼마전 수성구에 있는 교회에 음향시스템을 견적, 교체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보스 스피커를 사용하고 계셨었는데요, 앞으로 찬양팀에 더욱 집중하시기 위해 메인스피커 교체를 요청하셨죠.


어떤 스피커를 설치하여 드릴까, 고민을 하다 Ev의 ELX112p 파워드스피커로 결정하였습니다.

저렴한 가격에 12인치 파워드스피커이지만, 플라스틱통이 아닌 목재 엔클루저로 제작이 된

가성비 좋은 스피커입니다.



Ev는 예전의 Sx 씨리즈 뿐만 아니라 QRX나 Zx 등 성능과 내구성이 좋은 스피커들을 다양하게 생산하는 회사죠.

믿고 사용할 수 있는 좋은 회사 중 하나입니다.

현재는 디라직에서 수입하고 있고요, 패시브타입과 액티브타입이 나옵니다.


설치하여 드린 제품은 액티브타입이고요,

새벽기도회때 사용하기 위한 아날로그 소형믹서와 함께

디지털믹서를 사용할 수 있도록 2개의 밸런스드 입력을 받는 스피커입니다.


특히 2개의 믹서를 사용하는 것은 교회측에서 제안하신 내용인데요,

새벽기도회때 방송실에 올라가서 디지털믹서를 켜고 시스템을 구동시키기가 불편하실 것 같아서

예배실 뒷편 캐비넷에 소형믹서를 설치하였습니다.

이러한 2원화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해 특별히 3가지 부분에 신경에 써서 제품을 선택하였습니다.

1. 디지털믹서가 순차전원기로 제어되지 않을 것.

2. 순차전원기를 예배실 뒷편에서 제어할 수 있을 것.

3. 스피커가 2원화된 시그널을 모두 받을 수 있을 것.


SoundCraft Si Expression은 순차전원기에 연동하여 전원을 제어할 수 없는 모델이죠. 오히려 좋은 장점이 되었고요,

Leem NS-8S에 스위치를 연결하여 예배실 뒷편에서도 순차전원기를 켜고, 끌 수 있도록 설치 해 드렸고요,

소강대상에 사용하시는 마이크를 스플리터를 통하여 분배하여 디지털믹서로, 그리고 소형 아날로그믹서로 동일한 시그널을

전송하도록 설치 해 드렸습니다.


코그에서도 처음 해 본 작업인데요, 적절하게 잘 진행이 되었습니다.

소형 아날로그믹서는 Alto ZMX52입니다.

마이크 한개와 CDP를 사용하셔서 아주 심플한 제품으로 설치해 드렸습니다.

ZMX52는 큰 볼륨 Knob가 아주... 마음에 드네요^^



천정이 투플라이 석고 마감이 되어 있어서 점검구를 뚫어 스피커 플라잉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스피커의 앞면이 깔끔하게 정돈되어 있는 디자인이고요, Ev 로고에 전원표시등이 있어 방송실에서

스피커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기에도 좋은 제품입니다.

물론, 이 표시등의 스위치가 스피커 뒷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불빛이 거슬린다면 바로 off 하실 수도 있고요.



디지털믹서는 SoundCraft의 Si Expression3을 설치하였습니다.

물론 최근에는 QU 씨리즈나 M32 등 좋은 퀄리티를 보장하는 저가형 콘솔이 많이 있지만,

사운드면에서 안정적인 결과를 제공해 주는 Si Expression3을 설치하였습니다.

Si Expression은 영국 SoundCraft의 Vi 또는 Si의 계보를 잇는다는 점에서 고퀄리티의 결과물을 제공해 주고요...

물론 DCA가 없는 부분은 아쉽지만 Lexicon이나 BSS, dbx 등의 Harman International Group의 제품들을 품고 있다는 것이

참 매력적인 제품입니다.


막강한 Lexicon의 이펙터도 아주 세밀하게 세팅할 수 있는 믹서죠.

또한 페이더의 상황에 따라 바뀌는 LED Color도 디지털믹서의 선두주자인 Studer를 흡수한 SoundCraft의 두드러지는 장점입니다.


디지털믹서를 설치하면서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해주는 파워컨디셔너도 함께 설치하였습니다.

Furman의 AC-210E 모델이고요, 순차전원기 위에 적절히... 설치를 해 드렸습니다.



이번 작업은 2일간으로 진행이 되었는데요,

메인스피커와 디지털믹서의 교체 뿐 아니라, 전체적인 멀티케이블의 배선,

커넥터플레이트와 패치, 매립형 전동스크린과 프로젝터 설치 등 여러 작업이 함께 진행이 되었습니다.


예전에 사용하시던 베링거 믹서는 이제 퇴역하게 되었고요,

보스스피커와 여러 서브스피커들, 수동형 스크린 등은 모두 탈거작업이 진행되었습니다.



특히 커넥터플레이트는 교회측과 논의하여 개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입력 뿐만 아니라, 리턴단자와 파워콘단자, 그리고 별도의 스피콘 단자 등이 설치되었습니다.

이러한 작업은 꼼꼼한 마무리와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지만, 한번의 시공이 더욱 오랫동안의 유익으로 돌아오는 일이기에

땀을 흘리면서 더욱 꼼꼼하게 정리해 드렸습니다.



특히 강단 밑에 사람이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배선에 많은 시간을 들였고요,

그 결과 추가적인 커팅작업없이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목사님 강대상 밑에도 매립박스로 커넥터를 제작하여 드렸고요,

기존에 사용하시던 묻지마 케이블과 커넥터도 모두 벨덴과 뉴트릭으로 제작을 해 드렸습니다.


프로젝터는 교회에서 구입을 하셨던 소니 제품이 있으셔서 새로 설치해 드렸고요,

4000안시 프로젝터에도 밝게 보실 수 있도록 10Gain을 제공하는 맥스-R 매립스크린을 설치해 드렸습니다.

역시, 천정 개구부가 없어 원형 조명등을 탈거후 어렵게, 그리고 깔끔하게 설치를 해 드렸습니다.



모든 작업들이 끝이 나고,

이제 튜닝의 시간이 돌아왔습니다.


튜닝은 쉽게 마무리가 될 때도 있고, 그렇지 않을 때도 있죠.

전기음향만으로는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번 설치건에 좀 어려운 튜닝작업이 진행되었습니다. 물론, 시간도 아주 많이 걸리죠.

특히 3.2KHz 대역과 550Hz 대역이 많은 변수를 갖고 있었는데요,

강대상의 마이크도 바꾸어 테스트해 보고, 여러 상황들을 바꾸어가며 튜닝을 진행하였습니다.


결론은... 만만치 않은 공간이라는 것이네요.

목사님 모니터스피커 역시 정상적인 사운드는 아니어서 코그의 스피커를 대신 설치해 테스트하였고요,

교회에서 한두주 사용을 해 보고 다시 한번 논의하기로 정리를 하였습니다.




아무리 좋은 전기음향의 장비라도... 쉽게 마무리 되지 않는 게 있는데

바로 공간의 울림입니다.

벽체가 세워지고 공간이 만들어짐과 동시에 발생되는 것이 공간의 울림인데요,

어떠한 모양인지, 규모에 따라 마감재에 따라 수많은 변수들이 생기고,

많은 튜닝을 요할 수도 있는 공간이 되기도 하죠.


예전에 어떤 한 교회는 석고판의 울림이 너무 심했던 적이 있었는데요,

참고로 석고판은 음향에는 그닥... 좋지는 않습니다.

또한 페브릭이라고 할지라도 MDF나 나무를 감싼 한겹의 페브릭은... 역시 그닥...




갑자기 흥분해서 흡음이야기를 막...


흡음이야기는 다음에 한번 더 하기로 하고요,.,,

이제 포스팅을 마무리합니다.


이번 포스팅의 결론은...

좋은 사운드는 적절한 장비와 좋은 공간에서... 더욱 만족할 수 있다는 거죠.

기계만으로는 부족할 때가 있다는 겁니다.


약간의 아쉬움이 있었지만,

방송사역에 적극적으로 도와주신 집사님이 계셔서

함께 많은 이야기들과 사역들을 나눌 수 있었던 것 같네요.


코그는 이러한 일들을 통하여... 앞으로도 더 많은 방송사역을 함께 나누고, 섬기는 팀이 되길 원합니다^^

Bravo, your Devotion!

 

 




DSP 이야기. SAC DS-26

정말 무더운 여름입니다.

특히 대구는 더 그렇죠. 벌써 한 여름인 것 같습니다. 이제 겨우 5월인데...


그동안 포스팅도 잘 못하다가... 애들이 자는 시간에 노트북을 꺼집어 내 봅니다.


오늘은 DSP 이야기를 좀 해 보려고 합니다.

DSP는 Digital Signal Processor죠.

시그널을 처리하는 디지털 장비... 뭐 대충 이러 장비입니다.

특히 전체적인 스피커 제어에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스피커 매니지먼트... 뭐 이런 단어들도 사용합니다.

다들 비슷비슷한 이야기이죠.




그럼 DSP를 언제 사용해야 하는가...

사실 DSP는 1조의 메인스피커로 전체를 컨트롤하는 경우에는 별 쓸모가 없습니다.

물론, EQ로도 사용을 할 수 있지만,

EQ로만 사용하시에는 좀 아깝잖아요~~



DSP는 EQ 뿐만 아니라, 딜레이도 세팅할 수 있고요,

크로소버도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디지털장비들은 USB나 여러 통신 터미널을 통하여 컴퓨터로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순히 장비의 노브와 버튼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그래픽 화면을 통해 마우스로 제어 할 수 있죠.



최근에, 코그에서 다녀온 경주에 있는 교회입니다.

이 교회에는 기존의 DSP 장비가 있었지만, 제대로 컨트롤이 되지 않는 상황이어서 저렴한 DSP로 교체를 하였습니다.

바로 SAC라는 회사에서 생산한 DS26입니다.


SAC는 생소한 메이커인데요, 바로 소비코와 인켈이 만든 브랜드입니다.

오랜 경험과 실력을 바탕으로 한 소비코와 오랫동안 장비를 생산해 온 인켈의 만남이죠.


코그시스템의 음향디렉터, 권간사가 열심히 튜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날로그 믹서를 사용하시는 곳에서는 DSP가 고성능 EQ와 딜레이 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믹서로의 교체가 부담스러우시면 DSP를 설치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되겠죠.



USB 케이블을 노트북과 연동해서 EQ와 Delay를 세팅하였습니다.

물론, 사진은 못 찍었지만 긴 예배당의 뒷쪽에 있는 딜레이스피커를 세팅하였고요,

라인어레이 스피커의 전체적인 EQ를 새롭게 세팅하였습니다.

전체적으로 사운드가 더 깔끔해지고, 선명해져서 목사님께서도 감사하다고 하시고요,

장로님께서도 기뻐하시네요.



DS26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2개의 소스를 받아 6개로 나누어 제어할 수 있습니다.

DS48은 4개의 소스로 8개로 제어하는 기기이고요,

여러가지 방법으로 응용하여 시그널들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DSP는 딜레이스피커나 로비스피커, 중계스피커 등의 시그널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해 주기 때문에

엔지니어의 입장에서는 메인 사운드만 컨트롤하면 모든 스피커들이 제어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DSP와의 올바른 설계는 더더욱 편하고, 세밀한 사운드를 구성해 주죠.



작은 장비의 교체이지만, 전체적인 사운드를 바꿀 수 있는 DSP, 때로는 꼭 필요한 장비가 아닐까 싶습니다.




아쉽게도, 라인어레이 전체스피커를 튜닝하고 싶었지만,

너무나도 부족한 앰프로 인해... 메인 LR과 딜레이 LR만 세팅을 해 드렸습니다.


경주의 고풍스러움처럼 단아하게 지어진 예쁜 성전에, DSP로 새롭게 튜닝이 되니 소리가 더 아름다운 것 같네요^^

왠지 가을이 되면 또 가고 싶어질 것 같습니다~~







DSP는 회사별로, 제품별로 수많은 제품들이 있는데요,

교회의 환경에 맞는, 그리고 내구성과 성능이 좋은 제품을 선택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