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시스템'에 해당되는 글 10건

  1. 나아교회 프레닛 LED 설치기
  2. 스튜디오급 볼륨조절기 설치하기 - 자모실, 로비스피커
  3. 대전 고백교회 LED 전광판스크린 설치기 - 프레닛 LED
  4. 천안) HD 영상시스템과 LED 전광판스크린 설치기
  5. 대구 대은교회 LED 전광판스크린 설치기
  6. 영상시스템 설치기
  7. 수원 고색평강교회 HD 영상시공기 SONY HDR-CX450 6
  8. 친절한 상담과 시스템 방문점검 서비스

나아교회 프레닛 LED 설치기

안녕하세요. 코그입니다.

오늘은 주상절리로 유명한 경주 양남에 있는 나아교회에 설치한

프레닛 LED 이야기입니다.

2025년이 시작되고 흰 눈이 펑펑 오던 날...

프레닛 LED 뿐만 아니라 HD 영상시스템과 강대상 특수조명을 같이 설치했습니다.

나아교회는 바닷가 바로 앞에 위치한 멋진 동네에 있는

아름다운 교회입니다.

장로님께서 따뜻한 커피도 제공해 주셔서 추운 날씨였지만

따뜻하게 작업을 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안전도 열심히 챙겼습니다.

강대상 뒷편에 양쪽 기둥이 있어서, 기둥 안에 들어가는 144inch 제품으로 설치를 할지,

기둥을 넘어와서 최대 사이즈로 172inch로 할까 고민이 많으셨고요,

설치하실 때 좀 더 큰 사이즈인 172inch 제품으로 결정하셨습니다.

기둥과 벽체 사이에 깊이가 상당히 차이가 있어서,

합판으로 프레임이 들어갈 위치에 목구조 보강작업을 먼저 진행했습니다.

늘 코그와 함께 하시는 주안건축 장로님께서 오차없이, 정확하게 제작 해 주셨고요,

프레임과 캐비넷을 하나로 설계된 프레닛 LED를 부착했습니다.

프레닛 LED는 전체 통 프레임처럼 보이지만 320*160mm 모듈을 하나 하나

바로 붙일 수 있도록 설계가 된 제품입니다.

그래서 캐비넷 타입보다 이음새가 잘 보이지 않고, 평활도도 훨씬 잘 나오죠.

옆에서 보셔도 전체가 하나의 모듈처럼 보입니다.

또한, 전체적인 열이 갇히지 않고 바로 빠져 나가죠.

특히 나아교회는 기둥과 벽체 사이의 깊이 차이로 인해, 윗쪽을 통해

열방출이 극대화되는 효과까지 있습니다.

열은 위로 올라가는 자연스러운 대류 현상이죠.

열방출이 잘 되지 않는다는 것은 그만큼 장비의 불량이 더 빨리 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듈에 붙어있는 소자 뿐만 아니라, 리시빙보드나 SMPS도 영향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나아교회는 P2.5mm 제품으로 설치가 되었고요,

172inch의 사이즈입니다. 가로 3,840mm, 세로 2,080mm의 사이즈이고요,

테두리 베젤이 전혀 없이 마감되었습니다.

화면만 보이는 상황이죠.

해상도는 1,536 * 832px인데요, 강대상을 지나

성도석에서는 2.5mm 소자이기 때문에 픽셀이 전혀 구분이 되지 않습니다.

물론, 2.0mm나 1.86mm 등 더 작은 소자들로 제작된 제품들도 있지만

예배실 같은 공간에서는 2.5mm도 매우 좋은 선택입니다.

내구성이 더 높은 것은 말할 것도 없죠.

320*160mm 사이즈의 모듈을 하나 하나 붙어나가서

전체 큰 화면을 만들어 가는 과정인데요, 프레닛 LED는 전체 통 프레임에

바로 모듈을 부착할 수 있고, 정확한 부착 위치가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빠른 부착 속도를 제공합니다.

보통 158inch나 172inch 제품들은 코그팀원들의 손을 통해

2일 정도의 작업 시간이 걸립니다.

물론 더 빠르게 할 수도 있지만 수평이나 평활도 등의 좋은 결과물을 위해

더욱 꼼꼼히 작업하고 있죠.

코그는 LED 디스플레이만 설치하는 팀이 아니고,

음향과 영상, 조명 등 예배시스템에 필요한 모든 솔루션을 직접 제공하기 때문에

모든 작업과 공정들에 더욱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

꼼꼼하고 잘 정리된 설치가 아니면, 추후 발생하는 여러 트러블들을 컨트롤하기가 쉽지 않죠.

조금 더 일찍 작업을 마치는 것보다, 조금 더 땀을 흘리는 것을 우선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모든 작업이 끝나고, 전체 화면을 보시고 만족해 하시는 목사님과 장로님들의 말씀들이

늘 코그의 원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LED 전광판 뿐만 아니라

HD 영상시스템을 위한 카메라와 스위쳐, 지하 예배실의 중계와

강대상 특수조명 설치 등 맡겨주신 일에 최선을 다해 마무리 해 드렸습니다.

특별히 영상스위쳐는 올해 새롭게 출시된 루먼텍의 VS5입니다.

VS4에 비해 많은 부분들이 변화되었네요^^

이러한 예배를 돕는 장비들이, 예배를 잘 돕는 매개체가 되어서

복음의 능력이 드러나는 교회들 되시길 소망합니다.

코그는 코그의 길을 묵묵히 걸어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예배시스템의 모든 솔루션

코그시스템

문의. 010-2875-2378

스튜디오급 볼륨조절기 설치하기 - 자모실, 로비스피커

안녕하세요. 코그시스템입니다.

오늘은 특별히 시공기 보다는 예배시스템에 꼭 필요한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합니다.

바로, 자모실이나 로비 같은 곳에 사용되는 스피커의 볼륨을 적절히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문의가 많은 부분이기도 하고,

많은 분들이 생소해 하시기도 하는데요,

기본적인 원리부터 나눠보려고 합니다.

자모실 혹은 로비, 또는 예배실과 분리된 공간의 스피커에서

예배실의 소리가 필요한 경우들이 있습니다.

식당에서 식사를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필요하기도 하죠.

이런 모든 곳을 통틀어,' 자모실'이라고 이야기 하겠습니다.

자모실을 대표적으로 이야기하는 이유는

볼륨이 조절되는 상황이 가장 빈번한 곳이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이 소리는 내는 때는 큰 소리가 필요하고,

아이들이 조용할 때는 상대적으로 작은 소리가 필요하죠.

그때마다 방송실에 볼륨을 조절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고,

방송실에서 자모실의 상황에 맞추어 볼륨을 조절해 주는 것도 어려운 일입니다.

그렇다고 무시하고 동일한 볼륨으로 듣기에도 지칠 수 있죠.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그 공간 안에 있는 볼륨조절기'입니다.

보통 자모실에 사용하는 스피커는 크게 2가지 혹은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앰프가 포함된 (1)파워드스피커를 사용하실 수도 있고요,

앰프가 별도로 필요한 (2)패시브스피커를 사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패시브스피커라고 하더라도 로우임피던스를 사용하는 스피커와

(3)하이임피던스를 사용하는 스피커로 나눌 수 있죠.

물론 하이임피던스 스피커에서 사용할 수 있는 ATT도 있습니다.

요런 제품입니다. 물론 이러한 제품들은 하이임피던스용이고,

볼륨조절이 세밀하게 되는 게 아닙니다.

사실 로우임피던스를 사용하는 스피커에는 이런 ATT를 연결할 수 없지만

많은 곳에서 이런 ATT로 로우임피던스 스피커를 연결한 경우들이 많더라고요.

음... 앰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볼륨조절도 원하는 만큼 되지 않죠.

그래서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스튜디오용 볼륨조절기와 같은 장치들입니다.

이러한 장치들은 위에서 말씀드렸던 3가지 스피커 형태 모두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이임피던스 스피커들은 자모실 1곳만 아니라 여러 곳에 스피커를

동일한 타입으로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위에서 말씀드렸던 ATT를 사용하시는 게 더 나은 방법이긴 합니다.

물론, 원하는 만큼의 조절은 안되죠.

스튜디오용 볼륨조절기는 앰프의 출력단에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앰프의 입력단 전에 설치되는 장비입니다.

즉, 증폭 Amplifier 되기 이전의 Signal의 볼륨을 조절하는 장치이죠.

오디오믹서의 fader 혹은 knob와 같은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더더욱 세밀한, 스튜디오급 볼륨조절이 가능해 지는 거죠.

어떻게 연결이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자모실의 스피커가 앰프가 내장된 파워드스피커라면 설치는 간단합니다.

이런 방식으로 구성되죠.

오디오믹서에서 자모실 스피커를 연결하는 (일반적으로) XLR 밸런스드 케이블 사이에

볼륨조절기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케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볼륨조절기를 자모실에 설치하면 됩니다.

약간의 밸런스드 케이블과 커넥터 등이 있으면 간단히 설치가 가능합니다.

보통 많이 사용하는 BEHRINGER MONITOR1의 경우,

입출력 모두 XLR 커넥터를 사용합니다. 입력은 XLR-M 커넥터를,

출력은 XLR-F 커넥터를 사용하면 되죠.

(믹서의 출력이 TRS인 경우도 있습니다)

또 다른 장치 중에 MACKIE BIGKNOB 제품도 있습니다.

이 제품은 입출력 모두 TRS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렇게 구성될 수 있습니다.

TRS는 스테레오 커넥터로 사용하실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밸런스드 모노 커넥터로 연결이 되죠

액티브스피커는 이렇게 연결하여 사용하시면 되시고요,

패시브스피커는 조금 복잡해 집니다.

그래도 원리는 동일합니다.

앰프와 스피커가 분리되어 있다는 것만 빼면 동일한 연결방식이죠.

하지만 빨간 글씨로 표기한 데로, CR(방송실)에 있는 오디오믹서에서

Kid's Room에 설치하는 볼륨조절장치, 다시 CR에 설치되어 있는 앰프에서

Kid's Room의 스피커로 연결되는 스피커케이블의 구성이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에는 CR에서 자모실로 온 스피커케이블 외에

추가적으로 시그널케이블 2가닥이 더 필요합니다.

2채널 멀티케이블로 설치하셔도 되시고요, 1가닥 Signal 케이블을 2회 배선해서

처리해도 되죠.

자모실 스피커를 처음 설치하실 경우, 처음부터 스피커케이블 1가닥과 2채널멀티케이블을

포설하시면 볼륨조절기를 자모실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송실에서 오퍼레이터는 자모실에 줄 시그널 소스만 충분히 제공 해 주시면

나머지는 자모실에 계신 분들이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제적으로 자모실 뿐만 아니라, 로비나 식당 등 다양한 곳에서

이러한 볼륨조절기를 통하여 세밀하게, 그리고 직접 볼륨을 조절하실 수 있죠.

그동안 자모실이나 다른 공간에서 볼륨에 대한 어려움이 있으셨다면...

한번 도전해 보실 수 있는 DIY 구성입니다.

다음에는 조금 더...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자모실 사운드 환경을 포스팅하겠습니다.

예배시스템에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면

코그시스템에서 함께 고민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대전 고백교회 LED 전광판스크린 설치기 - 프레닛 LED

안녕하세요.

LED 전광판스크린의 새로운 설치 방식, 프레닛 LED로 시공하는 코그시스템입니다.

LED 전광판은 모듈과 프로세서 등의 장비들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시공을 하는가가 더욱 중요한 설치 제품이죠.

흔히들 '반제품'이라고 하는 이유가 바로 LED 전광판스크린의 설치의 중요성을 의미합니다.

코그시스템에서는 더욱 특별한 방식으로 설치하고 있습니다.

바로, 프레임과 캐비넷이 하나로 합쳐진 '프레닛 LED'로 설치하고 있죠.

LED 전광판스크린은 현재, 캐비넷 방식으로 설치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고요,

특별한 현장이 아니면 캐비넷을 고정하는 프레임을 먼저 설치합니다.

전체 대형 스크린의 뼈대가 되는 프레임의 설치는 매우 중요합니다.

크기가 클 뿐 아니라, 정확한 평활도와 하중 지지의 결과물이 중요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프레임을 각파이프 용접이나, 목작업, 혹은 알루미늄 프로파일 등으로

고정 설치하고, 그 위에 일반적으로 640*480mm의 캐비넷을 연장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설치방식이 일반적이며, 좋은 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지만

모든 영역에서의 평활도를 정확하게 맞추는 작업은 매우 어려운 작업입니다.

또한, 프레임과 캐비넷의 무게가 상당한 편이며, 각 캐비넷간에 발생되는 열 갇힘 현상은

크기가 커지는 대형 스크린일수록 열 방출을 하지 못하고, 더욱 높은 발열을 일으키죠.

이러한 현상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모듈의 불량 뿐만 아니라, SMPS나 리시빙 보드의 불량들도 발생됩니다.

심지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UTP 케이블의 접불도 발생될 확률이 높아지죠.

LED 전광판스크린의 유지보수는 대부분 모듈과 SMPS, 리시빙보드, UTP 케이블 등의

문제 발생입니다.

LED 전광판스크린의 유효수명을 물어보시는 경우들이 많은데요,

이러한 높은 발열은 직접적인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코그시스템에서 설치하는 프레닛 LED는 프레임과 캐비넷을 하나로 설계한

특별한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제작됩니다.

특히 열갇힘 현상이 발생되는 캐비넷의 격벽이 전혀 없기 때문에

발열 현상은 자유롭게 이동되어지며, 높은 기온이 상승되는 자연스러운 대류현상에 따라

LED 전광판스크린의 상단은 45mm 개방되어 설치가 됩니다.

특히 프레닛 LED는 모듈을 포함한 전체 두께가 55mm 정도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설치 두께는 어떠한 현장이라도 100mm 이내로 설치가 가능하죠.

현장에서 제작이 마무리된 프레닛 LED입니다.

프레임이 모듈을 고정하는 캐비넷의 역활을 같이 하기 때문에

이러한 설치 방식이 가능합니다.

인테리어 마감적으로도 깔끔하고, 매입도 할 수 있으며

발열에 대한 문제나 하중에 대한 부담도 줄일 수 있죠.

더군다나 기존 캐비넷 방식의 설치방식에서 나타나는 고르지 못한 평활도의 수준을

한단계 더욱 끌어올릴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결과물을 만들어 내기 위해 오랜 시간 고민하고, 연구하고,

제작한 특별한 특허제품입니다.

(코그시스템의 특허는 아니고요, 코그시스템은 좋은 아이템을 공급받아 꼼꼼하게 설치하는 팀입니다)

올해가 시작되던 연초에 대전 고백교회에서 LED 전광판스크린 설치에 대한 문의가 있었고요,

코그시스템에서 직접 프레닛 LED로 설치를 해 드렸습니다.

설치방식은 프레임과 캐비넷이 하나로 설계된 프로파일을 조립하고,

벽체에 단단하고 고정하고, SMPS와 리시빙보드를 모듈의 위치에 설치하고,

모듈을 부착하는 방식입니다.

모듈은 다른 제품들과 같이 마그네틱으로 부착이 되고요,

이미 정확하게 설계, 제작된 프레닛에 착착 감기듯이 부착이 됩니다.

모듈간의 부착면을 손으로 일일이 확인하면서 부착하고 있으며,

매우 깨끗한 평활도를 제공합니다.

P2.5mm 7,680Hz Ultra Refresh Rate를 제공하는

최고급 모듈로 설치가 되었고요,

리시빙보드는 Novastar MRV412, 드라이빙 IC는 최고급 제품 CFD455로 설치가 됩니다.

이러한 구성으로 매우 깨끗한 화면과 화질 뿐만 아니라, 매우 선명한 색상을 제공합니다.

158inch 제품으로, 전체적인 사이즈는 3,520 * 1,920mm이고요,

1,408 * 768 pixel의 해상도를 갖습니다.

방송실을 담당하시는 집사님과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고요,

특별히 목사님과 성도들과 교회를 사랑하시는 하나님의 마음이 많이 베여있는 교회네요.

교회의 이름이 우리나라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 편인 이름이어서

여쭈어 보니, 독일의 신학자 디트리히 본회퍼의 고백교회(Bekennende Kirche)에서 이름을 가져왔다고 하시네요.

천고가 매우 높은 교회였지만 삶 속에서 신앙을 고백하는 모습이

드리워져 있는 교회였습니다.

전체적인 케이블 배선과 설치작업을 마무리하고,

집사님께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고 잘 마무리하고 대구로 내려왔습니다.

전체적인 결과물이 너무 잘 나와서 집사님께서 너무 만족하시고, 좋아하시네요.

코그시스템에서 꼼꼼하게 설치한 프레닛 LED가 예배를 돕는 좋은 도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천안) HD 영상시스템과 LED 전광판스크린 설치기

안녕하세요. 코그입니다.

코그는 요즘 많은 변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사업장을 옮기면서 쇼룸과 강의실을 만들고 있고요,

그 첫 강의로 코그 1Day School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바로 이번 주 토요일이죠.

이제 거의 마무리가 되고, 조금씩 다듬어 가고 있습니다.

오늘... 코그팀원들과 강의실 준비를 마무리했습니다^^

오랜만에 컴퓨터 앞에 앉습니다.

오늘은 지난 가을에 진행했었던 천안 프로젝트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합니다.

멀리, 천안에서 진행되었던 LED 전광판스크린과 HD 영상시스템입니다.

HD 영상시스템은 카메라와 스위쳐, 그리고 출력장치들을 제어하는 역활을 하죠.

그 중심에는 언제나 스위쳐가 있고요,

그 앞으로 카메라나 PC와 같은 소스 입력장치들이 있습니다.

천안에서 진행되었던 프로젝트에도 코그에서 늘 설치하는 PUR HD-20 카메라가 설치되었습니다.

흰색에 예쁜 모양도 좋지만, 화질도 좋습니다.

물론, 더 좋은 제품들도 많이 있지만 흔히들 말씀하시는 가성비 좋은 카메라죠.

전용 브라켓도 있어서, 설치가 더욱 깔끔하고 단단하게 고정이 됩니다.

서브카메라는 벽돌 벽체에 전용브라켓으로 설치가 되었고요,

메인카메라는 기존의 카메라 브라켓을 탈거하고, 중층 하단의 단단하게 고정된 MDF 마감에

하단 브라켓으로 단단히 고정하였습니다.

전용브라켓이나 하단브라켓으로 카메라를 아래 방향으로 설치 할 수 있고요,

카메라의 이미지 FLIP 기능으로 화면을 바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위쳐는 국민스위쳐라 불릴만큼 많이 사용되는 LUMANTEK VS4입니다.

가격대가 조금 오르긴 했지만 사용하기 괜찮고, 필요한 기능들이 모두 있는

안정성 높은 제품입니다. 멀티뷰와 송출 사운드 레벨까지 깔끔하게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교회에서는 예배의 실시간 상황을 프로세싱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발열이 적은 제품과

안정성이 높은 제품이 꼭 필요하죠. 내구성도 중요하고요.

이럴 때 사용해야 하는 제품이 바로 VS4가 아닐까 싶네요.

1번과 2번 입력에는 카메라 소스가, 3번 입력은 강대상에서 사용하실 수 있는 노트북 입력소스,

4번은 방송부스에서 사용하는 PC 소스가 입력되었습니다.

강대상 노트북 입력소스는 강대상 바닥에 HDMI 리피터 제품이 설치가 되었고요,

방송부스에서 사용하는 순차전원기의 전기를 공급받아 설치되었습니다.

무대 바닥의 전기도 순차전원기가 컨트롤 하는 방법이죠.

UTP 케이블을 매설할 때, 전기케이블도 같이 매설하면 어렵지 않은 작업입니다.

하지만, 교회에서 사용하실 때는 이러한 어렵지 않은 작업들이 내구성과 안정성, 편의성을 제공해 줍니다.

코그는 이러한 세밀한 작업들을 항상 염두에 두고 작업을 진행하고 있죠.

방송부스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는 파워포인트를 통하여 PC 화면을 송출할 수도 있고요,

스위쳐의 크로마키 기능을 통하여 실시간 자막 기능도 같이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자막기는 아니지만, 누구나 쉽게 자막을 만들고, 송출할 수 있는 쉬운 사용법이 매력적입니다.

물론, 더 적극적인 자막기능이 필요하시다면 하드웨어 자막기를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하여 드리고요,

예배를 돕는 깔끔한 자막이 필요하시다면 이러한 크로마키 자막기능도 매우 훌륭합니다.

사실, 이러한 장비의 문제보다는 자막이나 화면구성, 구조 이러한 부분에 다양한 아이디어와 재치를

갖추는 것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겠죠.

하드웨어는 비용을 지불함으로 해결하실 수 있고요,

소프트웨어는 끊임없는 고민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더 나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스위쳐를 거쳐, LED 전광판스크린과 TV 중계, 녹화 및 스트리밍 등의 디스플레이가 연결되었습니다.

LED 전광판스크린은 VS4 스위쳐의 HD-SDI 출력으로 스케일러에 연결이 되었고요,

나머지 장치들은 HDMI 분배기를 통하여 설치되었습니다.

특히 TV와 같은 디스플레이들은 UTP 케이블을 이용해서 연결이 되었는데요,

1층 예배실과 지하 예배실 등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되었습니다.

HDMI 케이블을 UTP 케이블로 전송하는 방법은 스위칭허브를 통하여 쉽게 분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요,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도 충분히 안정적인 소스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NEXT 100HDC 장치로 HDMI를 UTP 케이블로 변환하고요, 스위칭허브를 통해 분배가 됩니다.

SW1600 mini 스위칭허브를 사용했기 때문에 최대 15대까지 분배가 이 장치로 해결이 됩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 앞에서 다시 UTP 시그널을 HDMI로 변환해서 TV나 프로젝터에 연결이 됩니다.

HDMI 케이블은 꽂으면 바로 사용하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른 기기들과의 트러블이 발생할 확률도 있고요,

장거리 케이블의 비용이나 커넥터 파손시 전체 케이블을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습니다.

거리가 짧거나 배선이 쉬우면 HDMI로 바로 연결하시는 것이 제일 간편합니다.

여러 현장의 상황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LED 전광판스크린은 P2.5mm 144inch 제품이 설치되었습니다.

스크린의 전체 사이즈는 3,200*1,760mm이고요, 해상도는 1,280*704pixel입니다.

코그에서는 프레임단위(480mm)의 설치 뿐만 아니라, 모듈단위(160mm)의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교회의 상황에 가장 좋은 사이즈로 설치가 가능합니다.

스케일러는 MAGIMAGE LED-550D 제품이 설치되었고요, MCTRL600 센딩보드가 사용되었습니다.

이곳 현장에서도 교회의 구조에 따라 가장 적절한 사이즈로 설치가 되었습니다.

또한, LED 전광판스크린의 좌우측면 벽체에 브라이트월이 같이 설치가 되었습니다.

설치된 위치가 높아 브라이트월 사용이 쉽지 않은 상황이었지만

브라이트월이 갖고 있는 장점들 때문에 LED 전광판스크린과 같이 설치가 되었습니다.

브라이트월은 LED 조명형 현수막이고요, 현수막에 실리콘 스트립 마감처리가 되어 있어서

프레임에 쉽게 부착이 가능합니다. 물론, 원단의 텐션을 이용하여 설치하기 떄문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고, LED의 밝기를 방송부스에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죠.

2개의 브라이트월이 설치가 되었고요, 방송부스에서 노브형태로 밝기를 조절하실 수 있습니다.

안정적으로 사용하실 수 있도록 2.5SQ 굵은 전기케이블로 설치해 드렸습니다.

LED 전광판스크린 뿐만 아니라 브라이트월까지 설치하고 나니, 강대상의 이미지가

많이 바뀌었습니다.

더욱 선명하고 밝은 시야성 좋은 LED 전광판 뿐만 아니라 행사나 교회의 표어를 표현할 수 있는

브라이트월이 더욱 집중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LED 특수조명은 잘 설치가 되어 있네요.

전동바튼도 같이 설치가 되어 있어서, 조명의 각도를 조금 수정했고요

카메라의 색감도 부목사님께서 직접 손을 보셔서 더 좋은 화질과 색감을 찾으셨네요.

강대상이나 배경의 색감도 카메라의 영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조명과 같이 고민해야 할 부분이기도 하죠.

모든 작업이 끝나고 대구로 내려왔다가, 2주 후에 다시 올라갔습니다.

조금 미흡했던 부분들, 교회에서 사용하시면서 수정하고 싶으셨던 부분들을 정리해 드렸고요,

저희가 미쳐 마무리하지 못했던 케이블정리를 부목사님께서 깨끗이 해 놓으셨네요.

방송부스가 예배실 앞쪽에 있는데 공간이 좀 협소해서 작업 테이블을 설치해서

음향믹서를 옮겼는데요, 그에 따른 케이블까지 모두 깔끔하게 정리를 해 주셨네요.

저희가 해야 할 일을 직접 해 주셔서 죄송하고, 감사드립니다.

최근 코그는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일주일 안에 1차 정리를 해 드리고요,

2주 정도 지나서 다시 방문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1,2주 사용해 보시면 수정보완하실 부분들이 보이기 때문이죠.

코그는 이러한 모든 작업들이 예배에 더욱 도움이 된다면

기꺼이 이 일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주가 고난주간인데요, 우리 예수님께서도 기꺼이 우리를 위해 오셨고

기꺼이 그 십자가의 고난을 감당하셨으니까요.

코그도 부족하지만 우리의 일들을, 우리의 사명들을 잘 지켜가도록 하겠습니다.

예배시스템에 어려움과 불편함이 있으시다면...

코그로 연락주세요.

좋은 결과를 만나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먼 길이었지만 정중히 견적을 요청하시고, 조심스레 방문을 요청하시고

많은 질문을 주셨고, 공사작업 중에도 궁금하신 부분들을 요청하셨던 부목사님 덕분에

코그도 좋은 결과물을 안고 나왔습니다.

어떤 분들은 너무 많은 질문을 해서 미안하시다고 하시는데요,

오히려 공사전에 이러한 부분들이 서로 충분히 커뮤니케이션이 될 때

더 좋은 결과물이 나온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기에

많은 질문과 커뮤니케이션... 언제나 환영합니다.

남은 고난주간. 예수님을 더욱 깊이 생각하시는 남은 한 주 되시고요,

기쁨의 부활주일을 맞으시길 기도합니다.

코그는,.. 부활주일을 1Day School로 맞이하겠습니다.

마라나타.

#LED전광판 #천안교회 #교회 #교회영상 #교회전광판 #대구음향 #대구영상 #대구전광판 #코그 #코그시스템 #코그미디어 #카메라 #PTZ카메라 #브라이트월 #현수막 #무대 #무대배경 #예배시스템

대구 대은교회 LED 전광판스크린 설치기

 

안녕하세요, 코그미디어입니다.

대구 대은교회에 설치한 LED 전광판스크린 설치기입니다.

대구 대은교회에는 기존의 강대상에 인테리어적인 요소들이 가미 되어 있습니다.

마치, 주원교회와 비슷한 형태이기도 하고요.

주원교회는 이러한 형태입니다.

LED 전광판과 LED 백월인 브라이트월을 설치한 부분들이 비슷하네요.

코그미디어에서는 단순히 LED 전광판스크린만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교회의 형태에 따라 가장 적절한 인테리어 효과까지 누리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대은교회에는 인테리어가 된 강대상 뒷벽체의 크기 때문에 P2.5mm 144inch로 설치가 되었습니다.

144inch는 3,200 * 1,760mm의 사이즈이고요, 벽체에서부터 160mm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가 되었습니다.

기존 벽체에 프레임을 단단히 고정하여 설치하고 LED 전광판 모듈을 부착했습니다.

코그미디어에서 설치하는 LED 모듈은 KC 인증을 받은 최고급 제품으로 설치하고 있는데요,

설치 뿐만 아니라 서비스까지 직접 제공하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이고 좋은 제품을 사용해야 하겠지요.

그동안 코그미디어는 40여개 교회의 LED 전광판스크린을 직접 설치하고, 지속적으로 유지보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발빠른 서비스 제공과 KC 인증을 받은 최고급 모듈이 더욱 안정적인 제품을 제공하고요,

코그미디어의 강점이죠^^

P2.5mm 144inch는 일반적인 3*3의 프레임 뿐만 아니라, 3*2, 2*2 등의 변형된 프레임도 같이 사용해야 사이즈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단순히 P2.5mm 153inch 뿐만 아니라 교회의 상황에 맞게 더욱 다양한 사이즈를 만들 수 있죠.

대은교회에서도 153inch로는 설치가 안되는 상황이었는데요, 코그미디어의 적절한 변형 프레임으로 좋은 결과물이 나왔습니다.

특히 LED 백월인 브라이트월도 같이 설치하게 되어서 더욱 깔끔한 강대상 형태가 되었네요.

브라이트월은 LED 전광판스크린과 가로 길이를 동일하게 맞추었습니다.

3,200 * 1,800mm로 설치가 되었고요, 사이즈를 자유롭게 만들 수 있다는 것도 참 좋은 장점입니다.

LED 전광판스크린은 돌출되는 깊이가 160mm이고, 브라이트월은 65mm입니다.

그래서 브라이트월을 LED 전광판스크린보다 95mm 더욱 돌출되도록 인테리어 밑작업을 했기 때문에

LED 전광판스크린과 같은 면으로 처리하였습니다.

 

브라이트월은 현수막입니다. 마치 벽처럼 주름지지 않고 흔들리지 않도록 특수 처리가 되었고요,

안쪽면에 LED 칩을 부착하여 적절한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가 됩니다.

특히 카메라로 목사님 얼굴을 비출 때에, 배경이 어두우면 얼굴 부분에서 카메라의 노출부분이 오바가 되어서

이마 부분이나 볼 부분이 하얗게 나옵니다.

이러한 경우에 특별히 브라이트월로 배경을 밝게 만들고, 강대상을 비추는 특수조명의 밝기를 조절하면

더욱 선명하고, 좋은 색감의 화면을 송출할 수 있게 되죠.

또한, LED 전광판스크린을 설치한 후에, 카메라 영상에 LED 전광판스크린의 그림자가 나오는 경우도

브라이트월로 충분히 해결을 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브라이트월은 배경을 밝게 만들기 때문에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LED 특수조명이 반드시 필요하죠.

마치, 방송국에서 아주 많은 양의 조명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최근에 브라이트월을 설치한 교회들은 짙은 파란색 배경을 많이 사용하셨는데요,

저는 개인적으로 조금 어두운 이미지 사진들이 더욱 효과적인 것 같습니다.

현수막은 다양한 디자인으로 출력하실 수 있고요, 코그미디어의 실리콘 마감을 통하여

브라이트월에 쉽게 부착하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브라이트월은 강대상 뒷 배경 뿐만 아니라,

교회의 로비의 안내문에나 새신자실의 사진 촬영용, 

그리고 각 부서실의 표어나 성경구절 등으로 활용하실 수 도 있습니다.

LED 백라이트가 들어가는 브라이트월-LED 버전과

백라이트가 없는 브라이트월-Thin 버전으로 제작이 가능하고요,

브라이트월-LED 버전은 돌출되는 두께가 65mm이지만

브라이트월-Thin 버전은 25mm 돌출이 됩니다.

주름지고, 울고, 흔들리는 현수막과 따로 조명을 설치해야 하는 상황에

브라이트월이 좋은 대안이 되고 있습니다.

 

브라이트월은 코그미디어를 통해서 공급받으실 수 있으시고요,

설치와 현수막 제작, 서비스를 같이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LED 전광판스크린과 브라이트월 문의는

 

 

으로 연락주세요. 친절한 안내와 좋은 결과물을 만들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영상시스템 설치기

안녕하세요, 코그입니다^^
몇몇 분들이 코그 문 닫았나... 물어보시는 분들이 계시네요.

​문 안 닫았습니다. 안 닫았고요^^ 전화번호가 변경이 되었습니다.
이전에 사용하던 전화번호의 명의가 달랐는데, 번호 명의를 가져오는 게 쉬운 일이 아니네요.

053) 323-1907 번호로 변경이 되었고요, 주님 오시는 그 날까지... 코그는 열심히 달려갈 겁니다.
코로나19로 몸살을 앓던 지난 두어달에도 매일 야근에 시달리다보니... 블로그 쓰는 게 쉽지는 않네요.
그래도 글 잘 보고 있다고... 요즘 일이 없어서 글이 없냐는 질문에... 페북 소식으로 대신하기는 했지만
은근 압박에 늦은 밤에 컴퓨터 앞에 앉았습니다.

지난 1월부터 마무리 한 현장에 9개 정도 되네요. 지금 진행중인 현장도 4개인데...
더 더워지기 전에 빨리 마무리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별거 아니지만, 우리의 사역현장에 꼭 필요한 이야기들을 나눠보려고 합니다.
구미에 있는 교회에 다녀왔습니다.

주된 작전은 영상시스템 설치기인데요... 몇가지 작업이 더 진행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전자시계 케이블 옮기기나 책상만들기. 음향튜닝하기 뭐 이런 우리의 일상들이죠^^

카메라의 아날로그 출력에서 HDMI 출력으로 바꾸었습니다. HDMI to HD-SDI 컨버터로 HD-SDI 시그널로 변환하여 전송하였고요.

​기존에는 1대의 카메라를 사용하시고 계셨습니다. 소니 핸디캠이고요, J 브라켓에 프로디아 팬틸트로 사용이 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스위쳐는 아날로그 장비네요. 물론 카메라는 HDMI를 제공하는 Full-HD 카메라입니다.
일단, 카메라와 컨트롤러는 그대로 사용하실 수 있는 상황이고요, 스위쳐만 HD 제품으로 교체하면 될 거 같습니다.

몇몇가지 다양한 HD 스위쳐들이 판매되고 있지만, 코그에서는 루먼텍 제품을 많이 사용합니다.

일단, 사용하기 쉽고요, 발열 문제 없고, 서비스 빠르고, 깔끔한 케이스를 갖고 있죠.

VS4 모델이 있고요, 컨트롤러와 본체가 따로 있는 VS6 모델이 있습니다.

물론 10채널 VS10도 있네요. 그리고 VS8도 이제 출시가 되었습니다.

워낙 쉽게 사용하실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늘 만족하면서 설치하고 있습니다.

특히 믹서의 오디오를 입력받을 때, TRS 커넥터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RCA나 TS는 언밸런스드 신호이지만, TRS는 XLR과 같이 밸런스드 신호이기 때문에 케이블이 길어지거나

전기선을 지나가더라고 노이즈가 억제되는 신호죠.

또한 일반적은 스위쳐의 오디오 입력이 -12dB가 되는 것과 달리, 오디오 입력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뭐... 굳이 이야기를 다 해야 한다면, HDMI 입력채널에 스케일러가 포함되어 있다던지, 2번 입력채널에

HD-SDI와 HDMI을 스위칭할 수 있기 때문에 총 5개의 입력을 사용할 수 있다는 거, UB4 같은 Layer Type의 자막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아. 제가 이런 내용을 적을 필요는 없는데 말이죠.

어쨋던... 좋은 제품은 다양한 환경에 적절한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과,

좋은 내구성은 코그로 하여금... 서비스 출장을 줄여준다는 장점이 있겠죠.

요즘 저렴한 스위쳐도 있긴 한데요, 멀티뷰출력이나 오디오 입력부 등을 확인하시고 필요한 제품을 잘 선택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4채널, 아니 총 5개의 입력채널을 받는 LUMANTEK VS4 스위쳐에 1번은 카메라, 4번은 PC 입력..

그렇지만 루마키 기능으로 4번 PC의 PPT를 활용하여, 1번 카메라의 영상 위에 자막기능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론 별도의 하드웨어 자막기가 있으면 더욱 좋겠지만, 파워포인트로 자막을 사용하시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 될 수 있죠.

특히 방송실 사역자가 집에서 미리 작업을 준비해 올 수 있다는 큰 장점도 있고요.

파워포인트는 다들 갖고 계실거니까요.

1대의 카메라지만, 자막기능과 또 때로는 PC 화면을 그대로 사용하실 수 있으십니다.

예배에 꼭 필요한 기능인거죠.

오디오신호는 기존에 사용하시던 PreSonus StudioLive24.4.2에서 연결했습니다.

메인출력단에 모노출력이 따로 있기 때문에, 모노출력에 연결했습니다.

메인페이더를 거친, 최종 시그널과 동일하죠. 물론 스테레오가 아니라, 모노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발생하는 한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HD 스위쳐의 경우, 오디오보다 영상이 조금 늦습니다. 대략 0.1초 가량 영상이 늦죠.

레이턴시를 더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아직 없네요.

영상의 레이턴시를 잡을 수 없다면, 반대로 오디오의 시그널을 늦추어야 합니다.

믈론, 예배 현장에서 프로젝터의 화면의 레이턴시는 없앨 수가 없네요.

다만 녹화 혹은 스트리밍 되는 과정에서 영상과 음성의 싱크는 맞추어야겠죠.

이 때 필요한 장치가 오디오 시그널을 늦추어주는 딜레이 장치입니다.

물론 AUX 출력단에서 딜레이를 걸어서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AUX 출력단은 메인과 따로 조절하셔야 하기 때문에

메인출력과 동일한 시그널을 제공하는 모노출력에 Delay를 사용할 수 있는 Behringer. FBQ100 장치를 사용했습니다.

이 장치로 음성 시그널을 0.1sec 늦추어서 송출하는 거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녹화 혹은 스트리밍의 싱크를 정확히 맞출 수 있고요,

한번 세팅함으로, 운용의 편의성을 제공합니다.

싱크 안 맞는 영상은 차라리 음성만 듣는게 나을 수 있으니까요.

이번 작업에 실시간 스트리밍이 함께 설치되었습니다.

스트리밍 장치는 AVERMEDIA. LGP2+ 제품이고요, PC와 USB로 연결하여,

실시간 스트리밍을 제공합니다. 물론, 동영상 녹화도 지원하는데요, 동시에 지원되지는 않습니다.

실시가 스트리밍도 필요하고, 녹화도 필요하실 때는 2대를 사용하셔야 하시는 거죠.

시트지 작업에 열풍기는 필수죠^^ 수축튜브용으로 사용하는데, 오늘은 시트지용으로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방송실이 생각보다는 좁습니다. 기존에 사용하시는 PPT PC는 그대로 사용하시고,

스트리밍 PC를 설치할 공간이 안 나오네요. 정확히 말씀을 드리면.... 모니터를 사용하실 공간이 나오지 않네요.

그래서... 작은 간이 책상을 만들어 드렸습니다.

기존 음향랙케이스 위에 MDF를 올리고, 시트지 작업으로 마무리했습니다.

예쁘지 않아도 된다면, 사용하시기에 편리하도록 만들어 드립니다.

저는 예쁜 거와는 거리가 좀... 음..

사실, 이러한 설치는 한번 하고 퇴근하면 끝이지만, 교회에서는 우리가 설치해 드린 제품들을 그대로 사용하셔야 하시잖아요.

한번 불편하게 설치해 드리면, 순간의 선택이 10년을 좌우한다는 옛날 광고처럼, 10년 불편할 수도 있으니까요.

중계도 새로 케이블을 매설해서 설치해 드렸고요, 총 4곳의 TV로 중계가 되었습니다.

케이블 트레이가 없어서, 1층으로 배선하는 작업이 좀 힘들었네요.

온김에... 음향 믹서도 점검을 해 드리고요, 좋은 소리를 내는 좋은 믹서답게 더욱 따뜻하고 좋은 소리를 찾아드렸습니다.

마치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같네요^^

예배시스템은 어떤 장비가 들어왔는가... 라는 질문보다 어떻게 설치되고, 어떻게 튜닝이 되었는가가 더욱 중요한 질문이죠.

얼마짜리 장비냐... 보다 얼마짜리 사운드냐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요.

물론, 장비빨이 필요한 경우도 있죠. 공간이나 환경, 사용하시는 목적에 적절한 설치와 운용이 필요하겠죠.

코그미디어는 이러한 예배시스템을 더욱 효율적으로 운용하시고, 쉽고 오랜 내구성으로 최고의 컨디션을 유지하실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물론 교육도 친절히 해 드리고 있죠.

모든 작업이 끝나고, 테스트도 마치고, 교육도... 특히 음향을 포함하여 교육해 드렸습니다.

구미는 대구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이기 때문에 후에도 몇번 더 방문을 했었는데요, 잘 정리되고 안정적으로 잘 사용하시고 계시네요.

큰 작업은 아니었지만, 기대 이상의 효과를 보셔서 감사하다는 인사를 해 주셔서 코그도 더욱 발걸음이 가벼웠던 현장입니다.

예배시스템은 크고 화려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죠. 교회의 상황과 운용의 목적에 맞게 적절히 설치되고, 교육과 세팅이 잘 마무리 되는 게 중요하죠.

요리를 할 때 적당히 넣는게 제일 어렵다는 것처럼, 예배시스템도 적절히 설치하는 것이 어쩌면 당연하면서도 가장 어려운 부분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코그는 이러한 고민과 문제들에 최선의 대안을 제공해 드리기 위해, 5명의 팀원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예배시스템을 직접 설계, 시공, 세팅,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처음 시스템을 설치할 때는 하청작업을 해도 되고, 다른 팀을 불러 올 수도 있지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시공했었던 팀을 불러 오는 게 쉽지만은 않죠.

이러한 서비스의 한계 때문에 코그미디어는 5명이 팀으로, 직접 설치하는 것이고요.

어떤 분이 물으시더라고요. 코그만의 장점이 뭐냐고.

코그의 장점은 바로 이 '직접'이죠.

음향과 영상, 전광판스크린과 특수조명... 이제는 흡음인테리어도 직접 하고 있으니까요.

그동안 예배시스템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셨다면... 코그의 문을 두드려보세요.

많은 고민을 함께 나누겠습니다. 그게 우리의 일이니까요.

전화주세요. 문자도, 카톡도, 이메일도 다... 괜찮습니다.

코로나19로 모두가 힘든 이 때, 예배의 기쁨이 우리 모두에게 넘쳤으면 좋겠습니다.

특히 방송실에서 궂은 사역을 감당하는 수많은 엔지니어 님에게도요^^

코그는 예배사역자들을 항상 응원합니다^^

늦은 밤에는 메일 주세요^^

caugkr@naver.com

입니다^^

수원 고색평강교회 HD 영상시공기 SONY HDR-CX450



안녕하세요, 코그입니다^^

이제 제법 날씨가 쌀쌀하네요. 애들 어린이집에 잠바도 안 입혀 보냈는데, 날이 꾸무리 하니까 좀 신경이 쓰이네요^^

그래도 어린이집은 따뜻할 거라 믿으며...


가을이 오기전, 수원에 다녀왔습니다.

어린이집을 함께하는 교회에 간단한 영상 및 음향설비를 마치고 왔습니다.

어린이집의 어린 꼬맹이들을 보니... 참 예쁘고 귀엽네요.


교회에서 어린이집을 함께 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어렵기에 더더욱 필요한 사역이겠죠.

저도... 교회 선교원 출신이기에... 쿨럭.



늦여름에 진행된 작업이고요, 간단한 작업들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방송실을 담당하시는 집사님께서 유선상으로 견적과 상담을 하실 때 전체적인 포맷을 말씀 해 주셨고요,

몇번의 조율과 최종 견적을 위해 교회를 방문하였습니다.


수원은 대구에서는 좀 멀긴하죠. 하지만 시작이 반이라는 말처럼, 다녀와야겠다고 마음 먹으면 사실, 별거 아니죠.

제주도도 가는데요^^ 사실 제주도는 티켓팅이나 날씨나 여러 변수들이 있긴 하죠.

수원은 차 타고 가는 곳이니까 별 어려움은 없습니다.



기존에 사용하시던 영상시스템을 HD로 변경하는 작업이었습니다.

카메라는 국민카메라 SONY HDR-CX450이 설치되었습니다.

예전에 나오던 405 모델의 후속모델이죠. 근데 소니는 연말이 되면 또 모델들을 체인지 하기에...

언제 변경될 지는 모르지만, HDR-CX450은 외부 어댑터를 사용하면 별도의 개조 없이 ON/OFF 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팬틸트는 프로디아 제품을 사용하였고요, 일단 1개의 카메라만 사용을 하시는데,

추후 추가적인 설치를 위해 2채널용 팬틸트 컨트롤러를 설치했습니다.

1채널이나 2채널이나 비용 차이는 크지 않으니까요.



프로디아 팬틸트는 아날로그 방식의 PTZ입니다. 그래도 이 녀석은 조이스틱 레버를 PUSH 하면, 속도가 2단계로 조절이 됩니다.

조이스틱 위의 LED가 빨간 색/초록 색으로 바뀌면서 속도 차이가 발생이 되죠. 없는 것 보다 훨씬 편합니다.

물론 디지털방식의 PTZ가 대세이긴 하지만, 각기 다른 여러 환경에서 아날로그 PTZ를 사용하셔야 하신다면...

그래도 속도 조절이 되는 제품으로 사용하시는 게 낫죠. 암요...



이번 작업에서는 HD 스위쳐는 설치되지 않았습니다.

대신 PC를 통해 자막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설치가 되었는데요,

방송실 담당집사님께서 제품을 선정, 설치까지 도와 주셨습니다.

이틀동안 작업이 진행되었는데요, 집사님께서 월차 연차를 쓰셔서 이틀동안 함께 작업을 많이 도와주셨죠.

미리 방송실을 정리 해 놓으시고, 간식도 챙겨주시고, 맛있는 식사도 대접해 주시고...


멀리 수원까지 가서 좋은 여건 속에서 즐겁게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집사님께도 감사를 드리고요, 목사님과 사모님께서 과일도 챙겨주시네요.

정말 정말... 더 열심히 작업해야 하는 곳이죠.


작업이 마치고, 대구까지 먼길가야 한다고 집사님께서 뒷정리도 직접 하신다고 막 쫓아보내시네요. 정말 정말 감사했습니다.


덕분에 정시에 칼퇴했습니다. 오후 6시... 수원에서 퇴근했죠. 아니면 또 야근이었을 텐데요...

그래서 이렇게 아름다운 하늘도 볼 수 있었습니다.





소니 카메라는 HDMI 케이블로 방송실까지 시그널이 전송되었습니다.

기존에 설치된 케이블들이 예배실 천정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었습니다.

20여가닥 정도 되네요. 필요없는 선은 CUT... 필요한 선은 다시 천정으로 올려서 3F 유아실 안쪽으로 매립하여 방송실까지 다시 배선하였고요,

방송실 바닥에는 80x80mm 덕트를 사용해서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

기존에 방송실 문턱으로 지나던 전기케이블도 덕트로 정리를 해 드렸고요, 접지가 없어서 접지케이블도 배선해 드렸습니다.

급히 수원에서 2.5Sq 1롤을 구입했네요. 15m 사용하려고요...




접지테스트로 테스트를 해 보니... 짠~~ 접지가 되었습니다.




물론 1m짜리 접지봉에 연결되었지만 나름 일을 잘 하는 것 같습니다.

함께 설치된 SOUNDCRAFT SI IMPACT가 일을 열심히 하니까요. 쉬지 않고요.


특히 디지털믹서는 접지가 매우 중요하죠.

특히 코그에서 설치하는 FURMAN이 접지가 안된 상황을 대신할 수 있는가?라는 문의를 많이 주시는데요.

FURMAN은 POWER CONDITIONER입니다. 접지는 기본적으로 되어야 하는 부분이고요.


실례로, SI IMPACT를 설치 해 드린 교회에 코그에서 접지를 해 드렸습니다.

1달 정도 지나서 믹서가 다운이 된다고 하시네요. 가서 확인을 해 보니, 접지선이 CUT... 되었네요.

다시 연결하고, 잘 사용하시고 계십니다. 접지... 정말 중요하죠.


하지만 건물을 지은 지 좀 된 경우에는 접지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에는 아쉽지만 접지봉이라도 작업을 해야 합니다.

물론 탄소접지봉 같은 더 좋은 방법들도 있지만, 비용이나 여러 상황들이 맞아야죠.


만약, 건물을 새로 지으신다면 방송용으로 별도 접지공사를 반드시 진행하시는 게 좋습니다.

물론 예전처럼 조명이 전기를 엄청 쓰지 않으니까 좀 낫긴하지만 접지는 기본이죠.




케이블 정리를 다 해 드리고, 마무리가 되니 집사님께서 깨끗해 진 예배실 한켠을 보시고, 속이 시원하다고 하시네요.

저희도 속이 시원하네요^^

사진에 자세히 보시면 기존 케이블을 내렸던 천정구멍과 케이블로 인한 때가 생긴게 보이실거에요.

물론 반나절을 홀로 천정에서 지낸 박대리님은 많이 더우셨겠지만... 그대의 손길이 더욱 코그다운 일을 만들어 가고 있어요. 잊지 마세요^^



기존에 사용하시던 프로젝터와 강대상에서 사용하시는 후면 프로젝터, 3F에 설치된 TV, 그리고 1F 어린이집 등에

프로젝터와 TV로 중계되었습니다.



상어가족 영상으로 테스트가 진행되었네요.

영상도 잘 나오고요, 소리도 잘 나오네요.




1F 어린이집에는 프로젝터로 영상을 중계하고요, PHONIC SEP-207로 소리를 전달하였습니다.



전체적인 중계는 CALLA에서 제작한 D-0212 분배기와 HDMI REPEATER로 전달되었습니다.

특히 CALLA D-0212는 8개의 HD-SDI와 4개의 HDMI로 분배됩니다.



물론 HD-SDI와 HDMI 1개씩 2개의 입력을 받고요, 패널 전면부에 시그널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초록색 불빛은 비추이지만, 기능만은 정말 알뜰살뜰 한 것 같네요.



더군다나 아날로그오디오 MUX 버튼, 심지어 볼륨노브까지... 완전 마음이 쏙... 듭니다^^




케이블 가이드까지... 완전 세심....



이제 영상작업이 거의 마무리 되었네요. 사진으로 보니... 별로 일을 안 한것 같네요.

그래도 이 모든 시스템들이 프로젝터를 제외하고, 모두 순차전원기와 연동이 되어 방송실에서 일괄적으로 시스템을 제어하실 수 있도록 설치했습니다.


1F 어린이집에서는 자체적으로 사용하실 수 있도록 전기작업을 해 드렸습니다.

늦은 밤... 다이소를 이용했습니다. 스위치콘센트...


각 층마다 CAT6 랜케이블도 새로 배선하였고요, 중계를 위한 배선 등 많은 케이블을 설치하였습니다.

늘 일은 고되지만 사진은 평온하죠. 이 사진들을 찍는 시간이 오기전까지...

4명의 팀원들은 궁둥이 붙힐 시간도 잘 없으니까요.


1박2일로 진행된 작업이기에 더더욱 열심히 작업한 것 같습니다. 2박3일이 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많은 분들이 HD 영상을 문의주시는데요,

영상에 대해 공부를 조금 하셨는분들이 그런 말씀을 하시더라고요.

HD 영상으로 바꾸어도 화질이 안 좋은 경우가 있다고. 무슨 말씀이냐고 하시니까 FULL-HD 화질이 아닌,

아날로그 영상시그널을 HD로 컨버팅해서 설치하는 경우가 많더라는거죠.


물론, 여러 방법들을 사용하시면 비용은 줄일 수 있습니다.

비용을 아끼고 절약하는 것은 좋은데요, 그렇다고 화질까지 줄일 수는 없는 일이죠.

요즘은 FULL-HD를 넘어 4K로 넘어가는 시대인데요, 뻥튀기 컨버팅 설치가 간간히 있기는 하네요. 좀 아쉽긴 합니다.




코그는 늘 그게 고민입니다.

어떻게 더 안정적으로 예배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을까.

그리고, 더욱 쉽게 운용할 수 있을까. 퀄리티를 헤치지 않고.



오늘도 그 고민으로 살아갑니다. 이게 우리의 일이고요, 우리가 섬기는 방법이니까요.

 


친절한 상담과 시스템 방문점검 서비스


코그워쉽시스템은 예배시스템에 대한 친절한 상담과 시스템 방문점검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그워쉽시스템만의 오랜 노하우를 함께 나누고, 점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상담과 방문점검에 대한 연락은 위에 있는 번호로 주시면 되시고요,

문자와 카톡 모두 가능합니다.


밤 8시 이후에는 가급적 문자나 카톡이 좋을 것 같네요.

앞으로도 예배시스템에 대한 상담은 언제나 코그입니다^^



참조) 시스템 방문점검 서비스는 대구지역은 무상으로 진행이 되고요,

타지역의 경우 출장비가 실비 발생할 수 있습니다.